728x90
반응형

성남문화재단(대표이사 서정림)20세기를 대표하는 여성화가 프리다 칼로의 삶과 예술을 다룬 특별기획전 비바! 프리다 칼로>’ 레플리카 전시를 오는 1213()부터 2025316()까지 성남큐브미술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성남문화재단과 전시공간기획사 디자인 믿음이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는 멕시코 미술의 국보급 화가이자 세계적으로 가장 사랑받는 여성화가 프리다 칼로의 예술세계와 삶을 조명한 전시다. 전시에서는 신체적, 정신적 고통과 절망 속에서도 삶에 대한 의지와 희망을 예술적으로 승화한 프리다 칼로의 대표작 50점을 레플리카(replica, 교육 및 체험 등의 목적으로 원작을 특수 복제한 재현 작품)로 만날 수 있다.

프리다 칼로(Firida Kahlo, 1907~1954)는 멕시코를 대표하는 여성 화가로, 현실주의, 초현실주의, 상징주의와 멕시코 전통문화를 결합한 원시적이고 화려한 화풍으로 잘 알려져 있다. 칼로는 어릴 적 앓은 소아마비와 선천성 척추질병, 16세에 당한 불의의 교통사고와 생사를 넘나든 30여 차례의 수술, 남편이자 멕시코 천재 화가 디에고 리베라의 끊임없는 외도와 세 번의 유산, 불임 등 반복되는 삶의 고통과 절망을 예술적 오브제로 삼아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 비록 상처로 점철된 파란만장한 삶이었지만, 생애 마지막으로 남긴 작품의 제목을 인생이여 만세(Viva La Vida)’로 붙일 정도로 칼로는 절망 속에서도 삶의 의미를 발견하며 예술을 통한 회복과 위로를 표현했다.

이번 전시는 프리다 칼로의 주요 작품들을 생애와 작품 경향에 따라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눠 소개한다. 대표작인 1940년 작 <가시 목걸이를 한 자화상 Self-portrait with thorn necklace and hummingbird>을 비롯해 리베라와의 결혼이 파경에 이르렀던 1939년에 그린 두 명의 프리다 The Two Fridas’, 고통받는 자신의 몸을 그린 1944년 작 부러진 척추 The Broken Column’ 등을 만날 수 있다. 이외에도 칼로의 삶의 여정을 담아낸 사진과 사망 전 10년간의 일기도 함께 전시한다.

또한 전시장 내에는 관람객들이 직접 프리다 칼로가 되어 자유롭게 자기만의 예술세계를 표현하는 체험존도 마련했다. 거울 보고 자화상 그리기, 프리다 칼로 머리 꽃무늬 장식의 가면 만들기,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 색칠하기 등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특별한 추억도 남길 수 있다.

전시 관람은 온라인(네이버예약, 인터파크티켓, 티켓링크) 및 현장 예매를 통해 가능하며, 관람료는 성인 6,000, 청소년 5,000, 어린이 4,000, 미취학 아동은 무료다.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은 휴관이다.

전시에 관련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성남아트센터 홈페이지(www.snart.or.kr)나 고객센터(031-780-8000), 성남큐브미술관 홈페이지(www.snab.or.kr)를 참조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시립교향악단(이하 부산시향)2025년 상반기 정기연주회 프로그램을 129() 전격 공개했다. 부산시향은 전통의 계승새로운 도약의 시작을 알리며 올해 7월 예술감독으로 부임한 제12대 예술감독 홍석원과 함께 새로운 도약을 이어가고 있다. 2025년 부산시향은 다양한 프로젝트 개발과 협업 등으로 새로운 도전을 이어감과 동시에 국내외 유명 아티스트들과 다채로운 작품으로 풍성한 무대를 마련한다.

2025년의 첫 시작을 함께할 제616회 정기연주회는 110()에 열린다. 부산시향은 활기찬 신년음악회를 만들기 위해 자유롭고 화려한 장르인 랩소디와 카프리치오로 구성하였다. 특별히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이진상의 연주로 선보이는 조지 거슈윈의 <랩소디 인 블루>는 신년의 설렘을 더할 것이다. 이어 214()의 제617회 정기연주회는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비롯해 발렌타인데이의 달콤함을 느낄 수 있는 낭만이 가득한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들로 구성하였고, 2024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수상자 바이올리니스트 박은중과 함께 하여 더욱 깊고 아름다운 선율을 선보일 예정이다.

36()37() 양일간 진행되는 제618회 정기연주회는 현대음악 장르에서도 긴장도가 매우 높은 시닛케의 <합주 협주곡 제1> 작품과 베토벤 작품 중 가장 평온한 <전원 교향곡>을 연주하여 두 작품이 서로 대비되는 묘미를 즐길 수 있다. 바이올리니스트 최송화와 유다윤의 비르투오소적인 연주로 시닛케의 극도의 긴장감을 선보일 예정이다. 411()의 제619회 정기연주회는 금년부터 시작한 말러시리즈의 하나로서 천상의 삶을 표현한 말러의 <교향곡 제4>을 선보인다. 말러 교향곡 중에서는 가장 심플하면서도 진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투명한 미성과 기교로 호평 받고 있는 소프라노 박미자와 함께한다. 523() 620회 정기연주회는 부산콘서트홀 개관을 맞아 영웅적인 모습을 담은 모차르트의<주피터 교향곡>, 그리고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드보르자크의<신세계 교향곡>을 연주한다. 새로 개관 한 부산콘서트홀에서 관객들을 만날 부산시향의 무대가 기대된다.

상반기의 마지막 619() 621회 정기연주회는 쇼스타코비치 서거 50주년을 기념하며, 작품에 자기의 이니셜 코드 DSCH를 넣으며 자유를 외쳤던 그의 대표작 두 곡을 준비하였다. ‘첼로 신성첼리스트 최하영의 연주로 쇼스타코비치의 역동적이고 화려한 현의 울림을 관객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2025년 신년음악회 티켓 오픈은 오는 1212() 오후 2시에 예매 오픈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www.bscc.or.kr)에서 확인 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기아트센터, ‘아트 온 씨어터’ 진행
경기도무용단 <찬연> 스크린 상영으로 만난다

경기아트센터가 경기도무용단 레퍼토리 시즌 작품인 <찬연(燦然)>을 스크린을 통해 선보인다. 상영회는 1211() 오후 230CGV 광교와 1213() 오후 3CGV 의정부에서 진행된다.

2024년 경기도 뉴미디어 예술방송국 - 경기우수공연 영상화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아트 온 씨어터는 경기도예술단의 품격 있는 무대를 고화질 영상으로 제작하는 프로젝트다. 올해는 경기도무용단 <찬연><세종>,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十二작곡가>, 그리고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협주곡의 밤> 공연 실황을 영상으로 담아냈다.

아트 온 씨어터를 통해 제작된 작품 중 하나인 경기도무용단 <찬연>은 상영회를 통해 도민들과 먼저 만난다. 티켓은 무료로 제공되며, 경기아트온ON SNS 및 전화 문의를 통해 선착순으로 신청할 수 있다. 사전 예매가 어려운 관객들을 위해 현장 예매도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올해 촬영이 진행된 4편의 영상은 경기도 뉴미디어 예술방송국이 운영하는 온라인 플랫폼 경기아트온ON’ 홈페이지에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 상영회는 현장에서 관람하지 못한 경기도민들에게 경기도무용단의 무대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자 한다.

오는 1210일 공개될 아트 온 씨어터는 올해 상연된 경기도예술단의 공연을 누구나 경기아트온ON’으로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될 것이다.

관람문의 : 031-230-3474 / 경기아트온ON 인스타그램(@gyeonggi_arton)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시립소년소녀합창단 제165회 정기연주회
2024. 12. 14.(토) 17:00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부산시립소년소녀합창단(수석지휘자 천경필) 165회 정기연주회는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아 <즐거운 겨울, 크리스마스>라는 타이틀로 오는 1214() 오후 5시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개최된다.

이번 정기연주회는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아 2024년 한 해를 마무리하는 기쁨과 즐거움 그리고 새해의 희망을 담아 마련하였다. 가곡, 민요, 캐럴 등 다양한 레퍼토리와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과 함께하는 우리 민요 합창의 콜라보 무대 등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무대가 될 것이다.

1부는 중후하지만 아름다운 고전 합창곡으로 시작하여, 소프라노 김유섬의 밀양아리랑과 오페라 세비야의 이발사 중 방금 들린 그대 음성(Una voce poco fa)을 들려준다. 이어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의 연주와 소년소녀합창단이 함께 흥겨운 우리 가락의 민요 합창을 춤과 함께 맛깔나게 보여줄 예정이다.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부산시립소년소녀합창단

2부의 첫 번째 순서로 겨울을 주제로 한 서정적인 가곡과 동요 메들리로 관객들에게 아련한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 이어지는 무대에서는 안현순 편곡의 캐롤 메들리로 상큼하고 신나는 안무와 함께 환상적인 마무리를 선보인다.

또한 전 출연자가 -소프라노 김유섬(창원대 교수), 부산진구립라온소년소녀합창단(지휘/김성배), 부산대 성악가 전공자 등 지역예술인- 다 함께하는 연합 합창 꿈의 날개을 통해 한 해를 마무리하는 희망찬 메시지를 전하는 뜻깊은 무대로 마무리한다.

부산진구립라온소년소녀합창단

좌석은 R3천원, S2천원에 판매되고 있으며,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www.bscc.or.kr) 또는 전화(051-607-6000)로 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시·부산시교육청·(재)부산문화회관 학생문화공연 관람지원사업
학생 맞춤형 공연 마켓 운영 및 베스트 10 작품 쇼케이스 진행

- 오프라인 매칭데이 : 2024. 12. 11.() ~ 12. 12.() -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 ()부산문화회관이 추진하는 학생문화공연 관람지원사업 어릴적예()’에 참여할 총 34개의 작품이 선정되어 2025년 공연 매칭을 위한 첫걸음인 오프라인 매칭데이가 1211(), 12() 양일간 부산문화회관 전시실과 사랑채극장에서 개최된다.

어릴적예()’는 어릴 적+예술() 조합으로 어릴 적부터 예술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를 담아 2023년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 ()부산문화회관의 업무 협약을 통해 추진해 오고 있는 학생 공연 관람 지원사업이며, 지난 98명이 참여한 심의위원회를 거쳐 음악(8), 전통예술(7), 무용(2), 연극·뮤지컬(13), 다원예술(4) 등 장르별 균형을 고려해 총 34개 작품이 선정되었다.

그 중 TDC앙상블의 ‘Fantasy:클래식으로의 여정’, 예술집단 하우의 토장군을 찾아라!’, 김옥련발레단의 발레컬 운수 좋은 날등 심의 점수가 높은 10편의 작품을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 ()부산문화회관이 추천하는 학생 맞춤형 공연 베스트 10으로 선정하였으며, 해당 작품들은 오프라인 매칭데이 당일 쇼케이스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선보여진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 베스트 10 작품 쇼케이스와 함께 학교-공연 단체 간 매칭을 위한 단체별 홍보 부스 운영을 진행한다. 오프라인 매칭데이에 참석이 어려운 경우에도 작품별 영상과 자료들을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도록 부산문화포털 다봄플랫폼을 활용할 계획이다.

본 사업에 선정된 공연 단체와 작품들은 부산시 권역별 공연장에 배치되어 2025년부터 학생들이 공연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며, 공연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각 학교로 공문을 발송할 계획이다.

()부산문화회관 차재근 대표이사는 오프라인 매칭데이는 공연 단체와 교사 간 직접적인 소통이 이루어지는 교류의 장이며, 학생들에게 더욱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밝히며 본 행사의 성공적인 개최와 교사들의 참여를 위해 부산시 교육청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요청드린다고 전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무용가로서 나아가는 춤의 길에 자신의 춤을 세우다

2024.12.13.(금)~14(토) 평일 19:30/토요일 15:00,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부산시립무용단(예술감독 이정윤)은 특별공연으로 <홀춤 : 디딤&STEP>1213()일부터 14()까지 양일간 부산문화회관 중극장에서 선보인다.

<홀춤 : 디딤&STEP>은 올해 세 번째 공연으로, 무용가로서 나아가는 춤의 길에 자신만의 춤을 세우고 그곳으로 묵묵히 정진해나가는 것을 의미하고 추구하는 특별공연이다. 무용단 단원들이 직접 탐구하여 춤을 짓고 생각을 입혀 무대화하는 과정에 의미를 두었다. 또한 자신의 이름을 정리하고 내세우고 남겨서 대체 불가한 자신만의 무용과 무용가가 되길 바라는 마음을 담은 공연이다. 이번 공연은 단원 10명의 창작무대로 구성되며, 시립무용단 이정윤 예술감독의 해설과 함께 진행된다.

13() 첫 날 첫 무대로 한국 창작무용 배정혜 선생의 풍류장고(하현정)’에서 영감을 받아 자신만의 풍류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춤으로 풀어낸다. 이어 문득 펼친 책 속의 꽃 향기를 쫓아 노니는 모습의무영화첩(김주연)’, 손을 모아 치성을 드리는 의식에서 비롯된비손(김미란)’이 진행된다. ‘걸북(김진영)’은 가락이 많아 춤보다는 놀이에 가까운 양태옥류 북놀이를 변용하여 영남지역의 특색인 덧배기와 화려한 춤사위를 가미하였다. 마지막 순서로 한국춤 사랑가에 영감을 얻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그리움과 애달픔을 딛고 홀로 나아가는 모습을 그린 (임선영)’로 마무리 된다.

김주연
하현정
김진영
임선영
김미란

14() 공연에는 흥타(최윤정)’라는 작품으로 내 마음속 울림을 찾아 한 장단, 한 걸음 흥을 쌓아올리며 막을 올린다. 다음으로수향(김도은)’무대에서는 삶이 춤으로 피어나는 길을 따라 나아가는 모습을 그려내고, 이매방류 살풀이춤의 힘차고 동적인 움직임을 정적인 움직임과 단아한 몸짓으로 새롭게 해석한 본살풀이(김주연)’를 보여준다. 때로는 담담하고 때로는 신명나는 있는 그대로의 날 것의 나를 보여주는 동래소고춤(곽미소)’와 이어지는 마지막 무대로 얼어붙은 땅에 생명력을 불어넣을 따스한 선혈의 기운을 표현한 사지푸리(류가빈)’가 진행된다.

김주연
류가빈
최윤정
김도은
곽미소

 

이번 특별공연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관람 가능하며, 전석 2만원에 판매되고 있다. 예매는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www.bscc.or.kr) 및 전화(051-607-6000)로 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파리 오케스트라 수석이자 파리국립고등음악원 교수인 파스칼 모라게스 국내 첫 협연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1212() 경기아트센터 대극장, 1213()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경기필 마스터즈 시리즈 V 버르토크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을 공연한다.

이번 공연에서는 김선욱 예술감독의 지휘로 진은숙 수비토 콘 포르차(Subito con forza),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K.622, 버르토크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작품116을 연주한다.



김선욱 지휘자는 이번 공연은 어떤 상황을 극복하거나 한계를 넘어서는 초월을 주제로 구성했다. 같은 클래식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고전과 구분이 명확하게 나뉘어 버린 현대음악, 작곡가 진은숙은 본래 그것이 하나의 흐름이었음을 보여주고자 위대한 고전을 상징하는 베토벤을 주재료로 시대의 초월을 시도한다. 이어지는 두 곡 역시 교향곡과 협주곡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작품이다. 당시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클라리넷의 등장에 매력을 느끼고 생의 마지막 협주곡을 작곡한 모차르트, 그리고 타지에서 생활하며 몸이 쇠하고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힘든 시기를 보내던 버르토크가 역경을 이겨내고 작곡해 더 높은 경지에 이른 작품으로 마지막을 장식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첫 곡은 진은숙이 2020년 베토벤 탄생 250주년 기념으로 작곡한 수비토 콘 포르차. 진은숙과 김선욱은 인연이 깊다. 김선욱은 피아니스트로 진은숙의 피아노 협주곡을 베를린필과 협연했으며 정명훈 지휘로 서울시향과 음반을 발매하기도 했다.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은 1791년 모차르트가 세상을 떠나기 두 달 전에 작곡한 그의 마지막 협주곡으로 파리 오케스트라의 수석이자 파리국립고등음악원 교수인 파스칼 모라게스가 협연한다. 파스칼 모라게스의 국내 첫 협연이라 더욱 기대를 모은다.



버르토크의 마지막 관현악 작품인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은 현대성과 민속성을 결합한 20세기 최고의 클래식 음악 작품 중 하나다. 스트라빈스키 봄의 제전과 함께 20세기의 고전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오케스트라 각 악기군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작품으로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협연자로 나서는 셈이다. 오케스트라의 기능미를 탐구하기에 최적의 곡이다. 1악장의 엄숙함과 3악장의 죽음을 애도하는 노래에서, 끝악장의 삶의 긍정으로 옮겨 가는 점진적인 변화가 특징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대자연이 주는 경이로움과 평온함을 회화에 담아 현대인들에게 마음의 휴식과 위안을 전달하는 황다연 작가의 개인전 <Into the Pantopia>20241203()부터 20241216()까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위치한 (네이버 본사 맞은편) 수호갤러리에서 열린다. 특히 이번 전시는 2021년 수호갤러리에서 개인전 이후 3년 만에 선보이는 전시로 한층 더 섬세하고 밀도감 있는 표현 기법으로 이상적인 낙원의 세상, 파라다이스를 관객들에게 보여주는 전시로 그 의미가 더욱 특별하다.

황다연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했으며, 주로 현대사회의 단면을 반영하는 파라다이스를 주제로 각박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자연을 통한 휴식과 위안을 전달하기 위해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작가는 인간의 갈망과 자연의 무한함을 통한 감동 그리고 안정감을 작품에 반영하기 위해 색(Colour), (Line), 구도(Composition)의 질서를 감각적이면서도 세밀하게 표현하고 있다. 작품 속 파라다이스는 초월적인 세상보다는 관람자의 주관적인 시선으로 지친 삶과 일상이 반영된 휴식과 같은 자신만의 세계이며, 자연이라는 소재를 통해 편안함과 안락함을 공감하게 만든다. 이번 개인전 <Into the Pantopia>에서 선보이는 신작은 작가가 개인적으로 경험하고 관람자에게도 익숙한 장소를 배경으로 낙원과 같은 푸른 자연의 판토피아를 그려냈으며, 작품을 통해 지친 마음의 치유와 위로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작가노트

현대사회의 특성은 액체에 비유할 수 있다고 지그문트 바우만(Zygmunt Bauman)은 말한다. 고정된 형태 없이 어디로든 흐르고 가볍게 넘나들며, 경계를 무화 하는 것, 그래서 개념적으로는 유동성, 유연성, 탄력성을 논할 수 있는 것으로써 액체의 시대, 즉 리퀴드 모더니티(Liquid modernity)는 우리의 지금, 여기이다. 현대사회는 빠르게 상품을 폐기하고 구입할수록 시대에 뒤처지지 않는 사람이라는 상징자본을 얻는다. 우리는 자유를 얻었지만 개인은 영원히 충족되지 않는 욕구를 유지하고 갈망한다. 작가의 파라다이스는 이러한 갈망 속에서 만들어졌고, 파라다이스의 허구를 이야기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단면을 파라다이스라는 세계로 그려낸다. 파라다이스는 사람의 흔적들로만 채워진 공간을 보여주고 있다. 작가는 그날의 날씨, 시간, 바람, 향기까지 기억한다. 낙원은 실제 존재하는 공간이며, 작가의 개인적인 기억과 상상을 더해 현실 공간 속으로 이상적인 자연을 가져온다. 작가가 머무는 곳이 작업의 소재이며, 자연의 고유색을 반영하여 파라다이스를 그린다. 누구나 한 번쯤은 가보았던 곳, 어딘지 모르지만 익숙한 장소들이 낙원처럼 느껴지며, 평범한 장소에서 판토피아(Pantopia)를 꿈꾸길 원한다. (황다연 작가)

수호갤러리는 전 세계적으로 AI(인공지능), DX(디지털 전환), AX(인공지능 대전환) 등 급변하는 산업 환경과 구조를 직면하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심리적 안정감과 자신만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가는 해안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이번 전시와 관련하여 황다연 작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아름답고 푸른 자연을 통해 지친 현대인들에게 삶의 휴식과 편안함, 그리고 치유와 위로의 메시지가 전달되길 소망한다,”라고 전했다. 수호갤러리에서 선보이는 황다연 작가 개인전 <Into the Pantopia>1216일까지 진행된다.

한편, 수호갤러리는 지난 16년 동안 매년 수호 아티스트 공모를 통해 열정적, 실험적인 시도를 하는 작가들을 선발하여 그들에게 다양한 전시 기회, 아트포럼, 멘토링을 제공해 주며, 역량 있는 작가들의 통로가 되기 위해 노력해왔다. 또한, 지역 주민과 청소년 및 장애인 대상 프로그램으로 꾸준히 문화 나눔을 진행해오고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