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제229회 정기연주회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예술감독 이동훈)의 제229회 정기연주회 창작위촉곡 시리즈 [부산·바다]’가 다가오는 327()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음악평론가 송현민의 사회와 함께 개최된다.

이번 무대는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이 2025년에 새롭게 마련한 창작 위촉곡 시리즈 네 번째 중 첫 무대이다. 부산을 주제로 하여 위촉 작곡된 관현악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으며, 젊은 여성 작곡가 4명이 만들어낸 아름답고 섬세한 곡들로 진행된다.

국악관현악 해금 수석 윤해승, 타악 부수석 박재현의 협연과 더불어 월간 객석 편집장이자 다양한 방송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송현민의 전문적이면서도 재치 있는 진행과 함께한다.

첫 곡은 2004년 위촉작품인 정동희 작곡의 국악관현악 꿈의 바다를 들려준다. 이 곡은 부산바다의 역동성을 과거, 현재, 미래의 모습으로 나누어 표현한 작품이다.

이어 2025년 위촉작품인 이지영 작곡의 귀향을 국악관현악으로 들려준다. 이 곡은 한 마리 나비가 대륙의 끝, 고향을 향하는 여정을 관현악으로 승화시켰다.

세 번째로는 2025년 위촉작품인 박선영 작곡의 해금협주곡 생각이 향하는 대로, 음악이 이끄는 대로를 해금 수석단원인 윤해승의 해금 협연으로 들려준다.

다음으로 2025년 위촉작품인 이고운 작곡의 동해안 장구를 위한 협주곡 대미를 타악 부수석 박재현의 장구 협연으로 감상할 수 있다. 이 곡은 동해안 굿 장단을 중심으로 장구 장단의 화려함과 그 속의 멋을 무대화 한 작품이다.

마지막 곡은 2025년 위촉작품인 손다혜 작곡의 국악관현악을 위한 수심을 넘어를 감상하게 된다. 이 작품은 멈추지 않는 시간, 그리고 다가오고 있지만 알 수 없는 미래까지, 한계와 수심(水深)을 넘어 힘차게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관현악으로 표현한다.

초등학생 이상부터 관람 가능한 이번 공연은 좌석은 R2만원, S석 만원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예매는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www.bscc.or.kr) 및 전화(051-607-6000)으로 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시립예술단 연합공연, 음악, 춤, 극, 영상으로 만나는 부산이야기

()부산문화회관(대표이사 차재근)은 부산의 역사, 정서를 담은 융복합 공연 부산시립예술단 창작 칸타타 <가마>을 내달 12(), 13() 양일 1930분 대극장에서 진행한다.

올해 새롭게 제작되는 창작칸타타 <가마>2024년 창단 40주년을 맞아 다양한 활동을 펼쳐온 시립국악관현악단을 비롯해 시립합창단과 시립무용단, 시립극단, 시립소년소녀합창단 등 5개 단체가 참가하는 공연으로, 크리스마스 캐롤에 이은 부산 브랜드 공연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연출은 부산시립극단 김지용 예술감독이, 지휘는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이동훈 예술감독이 맡아 풍성한 국악 가락과 합창과 춤, , 영상, 비보잉과 랩 등 다양한 장르가 어우러지는 융복합 공연을 제작, 다양한 볼거리를 선사할 예정이다. 무용은 부산시립무용단 부안무자 서정숙이, 에게로 대표 이용진이 배우들을 위한 안무를 위해 합세한다.

<가마>은 부산의 태동에서부터 글로벌 허브도시로 나아가는 부산의 역사, 사람, 미래를 담은 이청산 시인의 시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산과 바다, 강을 품고 있는 삼포지향의 도시 부산의 자연과 오랑대 전설, 고려가요 정과정, 조선의 하늘을 밝힌 장영실, 25의용단, 3.1 만세운동, 부마항쟁, 자갈치 등 부산을 상징하는 설화, 역사적 사건 등을 이청산 시인이 통찰적이면서 아름다운 시로 재조명하였고, 작곡가 조원행의 감성을 불어넣어 전체 5막의 웅장하고도 화려한 창작 칸타타로 탄생되었다.

소프라노 한아름
안세범
이동훈

 

장서윤
최수정

이번 창작칸타타는 초연 무대인 만큼 협연자들에게도 기대가 큰 작업이다. 이번 무대를 위해 중요무형문화제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 소리꾼 최수정, JTBC 풍류대장 출연으로 화제를 모은 소리꾼 장서윤, 프리마돈나 팝소프라노 한아름이 부산을 찾는다. 그외 부산 대표 바리톤으로 다양한 활동을 펼쳐온 안세범과 부산에서 활동하고 있는 비보이팀 킬라몽키즈와 연희퍼포머그룹 처랏이 창작칸타타의 흥겨움을 전해준다.

칼라몽키즈

부산의 만세 운동을 그린 39‘1919’를 위해 동래여고 학생이 특별출연, 일신여학교 만세 운동을 재현한다. 이진주, 허은실, 나은영 등 11명이 동래여고의 전신인 일신여학교 만세 운동을 재현하기 위해 고등학교 마지막 추억을 만들기 위해 부산시립극단 배우들의 지도로, 첫 연극에 도전할 예정이다. 또한 414, 거리에서무대에는 최근 랩 퍼블릭에 참가, 화제를 모은 부산 출신의 래퍼 제이통이 고향 부산을 찾는다.

이번 연합공연은 출연하는 각 예술단체의 장르적 특성을 살리는 무대 외에 미디어 파사드 작업으로 연말 공연장을 찾는 가족 관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선사할 예정이다.

부산시립예술단은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부산시립예술단 4개 단체가 참가한 크리스마스 캐롤을 선보이며 연합공연의 가능성을 확인했고, 전석 매진이라는 기록을 세우며 부산시민들에게 큰 즐거움을 선사한 바 있다.

현재 공연은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에서 예매중이다. 입장료는 R30,000, S20,000, A10,000원에 판매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제226회 정기연주회

202497() 오후 5:00,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제226회 정기연주회 [청춘 歌樂]이 다가오는 97일 토요일 오후 5:00, 부산문화회관 중극장에서 예술감독 이동훈의 지휘와 부산국악방송 PD인 신찬균의 사회로 개최된다.

청춘歌樂, 우리음악이 젊어진다.

전통음악에 현대적인 요소를 결합하여 새로운 감각을 전달하고자 하는 목표로 신세대 소리꾼 오단해(판소리), 국악창작그룹 뮤르(허새롬,지혜리), MZ세대 민요그룹 오미자(O! MZ)와 부산을 대표하는 가야금 연주자 김소정이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과 함께 펼치는 열정적인 무대로 개최된다.

첫 곡은 이해식 작곡의 국악관현악 젊은이를 위한 춤 바람의 말을 들려준다. 이 작품의 모티브가 되는 바람은 마치 재즈풍의 즉흥적 리듬과 흡사하기도 하다. 리듬을 타고 춤추는 가락들이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다뤄진다.

두 번째 곡은 황호준 작곡의 25현가야금 협주곡 [아나톨리아, 고원에 부는 바람]을 김소정의 25현가야금 선율로 들려준다. 이 곡은 튀르키예 아나톨리아의 풍경을 담은 한 장의 사진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했다.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적 요소들을 융합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자 하는 작곡가의 예술적 비전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세 번째 곡은 이지영 작,편곡의 MZ세대 경기민요 오미자(O! MZ )놀자 아리랑, Wish, 노세노세를 민요그룹 오미자의 선율로 감상한다. 민요 그룹 오미자는

우리의 음악을 우리답게!’, ‘전통을 트렌디 하게!’ MZ세대의 다채로움을 전례 없는 음악적 감성으로 녹여내고 있다.

네 번째 곡은 오단해, 김수유 작곡, 차민영 편곡의 판소리 가창을 위한 국악관현악 사철가, History’를 국악관현악과 오단해의 소리로 감상하게 된다. 소리꾼 오단해는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심청가 이수자이며, 전통음악을 보존, 계승하는 소리꾼이자, 판소리를 기반으로 창작음악, 뮤지컬, 음악극 등 다양한 장르와 협업하며 활동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는 예술가이다.

마지막 곡은 차민영,김예진 편곡의 가리봉 블루스, 누구없소를 국악관현악과 국악창작그룹 뮤르의 무대로 감상하게 된다. 국악창작그룹 뮤르는 국가무형문화재 피리정악 및 대취타 전수자 허새롬&지혜리로 이루어진 국악창작그룹으로, MBN조선판스타, KBS2 ‘국악한마당등의 방송 및 맛있는 녀석들’, ‘슈퍼맨이 돌아왔다등의 BGM 참여로 대중성과 예술성을 고루 갖춘 여성2인조로 구성되어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특별연주회
‘퇴근길 음악회, 국악 힐링 타임’
- 2024년 6월 27일(목)19:30,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

 

바쁜 일상과 힘든 업무에 지친 직장인들과 부산시민들을 위한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특별연주회 퇴근길 음악회, 국악 힐링 타임이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이동훈의 지휘와 노주원(TBN부산교통방송 MC)의 사회로 오는 627() 목요일 저녁 730, 부산문화회관 중극장에서 개최된다.

 

가야금병창, 대금, 성악 협연을 비롯한 국악관현악의 다채로운 구성으로 흥과 신명이 묻어나는 선율로서 감동과 재미를 만끽할 수 있는 무대가 될 것입니다.

공연의 첫무대는 김대성 작곡의 국악관현악 금잔디를 들려준다. 이 곡은 작곡자가 중국 요동지역을 답사하면서 안시성에 핀 꽃에 영감을 받아 무구한 역사를 견뎌온 꽃의 삶을 고려인과 현대 민중의 삶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삼아 만든 작품이다.

두 번째 곡은 변재벽 편곡의 [춘하추동, 풍년노래]를 강명옥, 김현정, 최현빈, 백도경의 가야금병창과 흥겹고 경쾌한 국악관현악으로 들려준다.

이어서 조원행 작곡의 대금협주곡 타래를 김소희의 대금소리로 들려준다. 이 곡은 세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느림과 빠름이 반복적으로 교차되며 그 사이에 카덴자에서 대금의 화려하면서도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작곡한 곡이다.

네 번째 곡은 이동훈, 박선영 편곡의 성악과 국악관현악 [세레나레, 퀸메들리, 붉은 노을을 홍열매, 김성민, 임성욱, 구본철의 남성4중창과 국악관현악으로 들려준다.

마지막 곡은 이고은 작곡의 국악관현악 민요산책을 들려준다. 이 곡은 전국의 민요 중 늴리리야(경기민요), 이야옹타령(제주도민요), 몽금포 타령(황해도민요), 강원도 아리랑(강원도민요)이 국악관현악과 주고 받는 형식으로 흥겹게 연주된다.

 

프로그램 해설

금잔디

김소월의 시 금잔디에 작곡가 리건우가 곡을 붙여 만든 동명의 가곡을 소재로 작곡가 김대성이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위촉을 받아서 새로 만든 국악관현악곡으로 중국 요동지역을 답사하면서 안시성에 핀 꽃에 영감을 받은 작곡가가 무구한 역사를 견뎌온 꽃의 삶을 고구려인과 현대 민중의 삶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삼아 만든 작품이다. 곡의 후반에서는 지영희 명인의 경기도당굿 중 올림채장단과 판소리 호걸제(호방한 기풍의 악조)느낌을 녹여내 한 민족의 역동적인 힘과 웅장한 대륙의 기상을 표현한다.

 

춘하추동 - 풍년노래

춘하추동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노래하며 자진모리의 빠른 장단으로 경쾌한 곡이며, 가을 가사에는 굿거리장단의 남도 창법으로 한껏 멋을 부려본다. 풍년노래는 풍년이 된 만경들녁의 황금물결을 보는 듯 흥겨운 리듬으로 활기차고 화평한 가을을 노래하며 국악관현악과의 협연 무대로 꾸며본다.

 

타래

이 곡은 국악관현악을 위한 대지 21악장 주제를 바탕으로 대금 협주곡으로 재구성하였다. 동그랗게 뭉쳐놓은 한 타래의 실을 한올 한올 풀어내듯 대금의 멋스러운 음색, 기교들을 국악관현악과 더불어 풀어내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세 개의 악장으로 나눌 수 있는데 느림과 빠름이 반복적으로 교차되며 그 사이 사이에 카덴차에서 대금의 화려하면서도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작곡하였다.

 

세레나데 - 퀸 메들리 - 붉은 노을

퀸 메들리

Dear my hero. 삶도, 삶을 메우는 음악도 내 가슴을 먹먹하게 했다. 영화가 끝나고 한참을 뭐라 표현 못 할 감정에 휩싸여 있었다. 말로, 언어로 표현하기 힘든 그 감정을 이 두 곡의 편곡으로 가슴 깊이 새긴다. 나의 영웅 프레디.

 

민요 산책

전국의 민요들을 산책하며 노닐 듯 즐길 수 있도록 만든 관현악곡이다. 경기민요인 닐릴리야로 시작하여 제주도의 이야옹타령, 황해도의 몽금포타령, 강원도의 강원도아리랑이 각각 다른 분위기로 펼쳐진다. 곡의 마지막에 다다르면 전라도의 강강술래와 경상도의 쾌지나칭칭나네가 흥겹게 연주된다.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1984523일에 창단된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은 전통음악 계승 발전 및 창작음악을 개발하여 해양수도 부산을 중심으로 폭넓게 활동을 펼치고 있는 연주단체이다.

전문연주자 70여 명으로 구성되어 현재까지 정기, 특별, 기획연주회와 덴마크, 터키, 싱가포르, 인도, 중국, 일본, 베트남, 대만, 인도네시아, 미국, 독일, 호주 등 국내외 다양한 연주회에서 우리음악을 수준 높게 소화해 내고 있다.

창단 초대 지휘자 이의경, 2대 지휘자 김영동, 3대 지휘자 김용만, 4대 지휘자 배양현, 5, 6대 지휘자 박호성, 7대 지휘자 김철호, 8대 지휘자 이정필, 예술감독 김정수, 9대 김종욱 수석지휘자, 현재 예술감독 이동훈을 영입하여 열정적이고 참신한 레퍼토리로 우리음악의 예술적 향상과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외교부에서 주최한 전국지자체 문화예술공연 해외파견공모에 2013년과 20152회에 걸쳐 선정되어 2013년에는 한-독 수교 130주년 기념 및 파독광부 50주년 기념공연을 독일 뒤셀도르프와 함부르크에서 성황리에 마쳤으며, 2015년에는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연주회를 일본 삿포로 시민홀에서 격조 있고 품격 있는 우리음악을 선보여 큰 박수갈채를 받았다.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은 우리음악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한국음악의 대중화 및 현대화 그리고 생활화를 추진하여 국내외에 한국 전통문화의 위상을 드높이고 있다.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소개

 

예술감독 이동훈

부지휘자 김경수

악장 김혜진(현악)

대금 손한별 강은주 강영진 엄익준 황두호 최재호 한영길 안헌영 송누리영 김소희

소금 조은경

피리 박순자 김용우 강영현 박영은 권미정 진형준 정주아 지영재 서영규 신형준

해금 윤해승 방병원 김민정 최윤정 정수경 이은주 최윤희 강민정 조희규 이선영

아쟁 홍영혜 최영훈 권혜정 최희정 박 일 박경진

가야금 윤경선 김지현 송영남 옥경화 정세희 하지희 김소정 최지아

거문고 이대하 오상훈 엄애리 박하혜 전혜정 이유진 전현진 송다솔 주윤정

타악 송강수 박재현 이주헌 장미진 최오성 최정욱 조혜진

성악 박성희 정선희

건반 김예진

악보 백규진

악기 김인균

출연진 프로필

 

지휘 이동훈

 

지휘 이동훈

· 추계예술대학교 국악과 졸업 동 대학원 졸업

·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 추계예술대학교 국악과 강사, 수원대학교 국악과 객원교수, 단국대학교 국악과 겸임교수 역임

· 경기도립국악단 상임단원 (2005~2016)

·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ASIA전통오케스트라 부지휘자 (2016~2018)

· 영동군난계국악단 상임지휘자 (2016~2017)

· 충주시립우륵국악단 상임지휘자 (2018~2023)

· 국립국악관현악단, KBS국악관현악단,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천안시충남국악관현악단 등

국내 유수 국악관현악단 지휘 (200여 회)

· 국립국악원, KBS국악관현악단,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진주시립국악관현악단 등

전국국악관현악단 위촉작곡 및 편곡 (500여 곡)

· 1회 이동훈 작곡 발표회 (국립국악원 우면당)

· )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사회 노주원

 

사회 노주원

· ) 부산TBN <즐거운 라디오, 노주원입니다> MC

부산MBC <라디오 시민세상> MC

부산국제영화제 배리어프리영화 성우

· ) 부산MBC <열전! MBC 노래방> MC

부산튜브 <지금은 15분 시대> 진행자

 

가야금병창 강명옥

가야금병창 강명옥

· 정읍 전국 국악 경연대회 종합대상

· 가야금병창 연주회 사월에향연’, ‘오월에향연외 다수 총연출

·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 부산대학교 한국음악학과 및 일반대학원 외래강사 역임

· )한국국악협회 부산광역시 지회장

 

가야금병창 김현정

가야금병창 김현정

·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수석졸업

· 중앙대학교 한국음악과 박사수료

· 18KBS 국악대경연 '장원'

·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 ) 부산여성문화회관 가야금 강사

중앙대학교 연희예술학부 외래교수

향사 박귀희 가야금병창 기념사업회 강사 및 운영위원

 

 

가야금병창 최유빈

· 전남대학교 국악학과 졸업

· 2022 3회 수원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대상

· 2022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젊은 국악협연

· 2023 최유빈의 가야금병창 개인 독주

· )한국국악협회 부산광역시지회 회원

 

가야금병창 백도경

가야금병창 백도경

· 서울예술대학교 재학

· 31회 부산전국청소년국악경연대회 종합대상

· 2023년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세종학당 문화인턴 강사역임

· )한국국악협회 부산광역시지회 회원

 

대금 김소희

대금 김소희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졸업 및 동대학원 석사 수료

· 국립부산국악원 객원단원 역임

· 2020 영산양재홀 영아티스트 대상 수상

· 2021 한국문화재재단 율객선정

· 2022 충주시립국악단 젊은예인

· ‘꿈꾸는 광대협연

· 2023 김소희 대금 독주회 II 靑春

· )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단원

 

남성4중창

 

테너 홍열매

테너 홍열매

· 부산대학교 음악학과 성악전공 졸업

· 8회 대학교향악축제 부산대학교 오케스트라 협연

· 삼성생명 열정서 힐링콘서트 출연

· Mozart <Requiem> solist

· Bach <Magnificat> solist

· Haydn <Die Schöpfung> solist

· ) 김해시립합창단 단원

 

테너 김성민

테너 김성민

· 고신대학교 교회음악과 졸업

·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졸업

· 창원시립합창단 단원역임

· ) 김해시립합창단 단원

 

바리톤 임성욱

바리톤 임성욱

· 경성대학교 음악학과 성악부문 수석졸업

· 가람아트홀 주최 신인음악회 출연

· 김해 차 박람회, 해반천 음악회 초청 연주

· 창원 국악관현악단 협연

· 오페라 <마술피리>, <투란도트>, <팔리아치>, 창작오페라 <윤흥신> 등 다수 오페라 주조역 출연

· ) 김해시립합창단 단원

 

바리톤 구본철

바리톤 구본철

·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졸업

· ITALY ROMA ACADEMIA CABRINI 수료

· 개천예술제, 마산음악협회, 부산음악협회 입상

· ) 김해시립합창단 단원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