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특별연주회
‘퇴근길 음악회, 국악 힐링 타임’
- 2024년 6월 27일(목)19:30,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

 

바쁜 일상과 힘든 업무에 지친 직장인들과 부산시민들을 위한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특별연주회 퇴근길 음악회, 국악 힐링 타임이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이동훈의 지휘와 노주원(TBN부산교통방송 MC)의 사회로 오는 627() 목요일 저녁 730, 부산문화회관 중극장에서 개최된다.

 

가야금병창, 대금, 성악 협연을 비롯한 국악관현악의 다채로운 구성으로 흥과 신명이 묻어나는 선율로서 감동과 재미를 만끽할 수 있는 무대가 될 것입니다.

공연의 첫무대는 김대성 작곡의 국악관현악 금잔디를 들려준다. 이 곡은 작곡자가 중국 요동지역을 답사하면서 안시성에 핀 꽃에 영감을 받아 무구한 역사를 견뎌온 꽃의 삶을 고려인과 현대 민중의 삶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삼아 만든 작품이다.

두 번째 곡은 변재벽 편곡의 [춘하추동, 풍년노래]를 강명옥, 김현정, 최현빈, 백도경의 가야금병창과 흥겹고 경쾌한 국악관현악으로 들려준다.

이어서 조원행 작곡의 대금협주곡 타래를 김소희의 대금소리로 들려준다. 이 곡은 세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느림과 빠름이 반복적으로 교차되며 그 사이에 카덴자에서 대금의 화려하면서도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작곡한 곡이다.

네 번째 곡은 이동훈, 박선영 편곡의 성악과 국악관현악 [세레나레, 퀸메들리, 붉은 노을을 홍열매, 김성민, 임성욱, 구본철의 남성4중창과 국악관현악으로 들려준다.

마지막 곡은 이고은 작곡의 국악관현악 민요산책을 들려준다. 이 곡은 전국의 민요 중 늴리리야(경기민요), 이야옹타령(제주도민요), 몽금포 타령(황해도민요), 강원도 아리랑(강원도민요)이 국악관현악과 주고 받는 형식으로 흥겹게 연주된다.

 

프로그램 해설

금잔디

김소월의 시 금잔디에 작곡가 리건우가 곡을 붙여 만든 동명의 가곡을 소재로 작곡가 김대성이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위촉을 받아서 새로 만든 국악관현악곡으로 중국 요동지역을 답사하면서 안시성에 핀 꽃에 영감을 받은 작곡가가 무구한 역사를 견뎌온 꽃의 삶을 고구려인과 현대 민중의 삶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삼아 만든 작품이다. 곡의 후반에서는 지영희 명인의 경기도당굿 중 올림채장단과 판소리 호걸제(호방한 기풍의 악조)느낌을 녹여내 한 민족의 역동적인 힘과 웅장한 대륙의 기상을 표현한다.

 

춘하추동 - 풍년노래

춘하추동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노래하며 자진모리의 빠른 장단으로 경쾌한 곡이며, 가을 가사에는 굿거리장단의 남도 창법으로 한껏 멋을 부려본다. 풍년노래는 풍년이 된 만경들녁의 황금물결을 보는 듯 흥겨운 리듬으로 활기차고 화평한 가을을 노래하며 국악관현악과의 협연 무대로 꾸며본다.

 

타래

이 곡은 국악관현악을 위한 대지 21악장 주제를 바탕으로 대금 협주곡으로 재구성하였다. 동그랗게 뭉쳐놓은 한 타래의 실을 한올 한올 풀어내듯 대금의 멋스러운 음색, 기교들을 국악관현악과 더불어 풀어내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세 개의 악장으로 나눌 수 있는데 느림과 빠름이 반복적으로 교차되며 그 사이 사이에 카덴차에서 대금의 화려하면서도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작곡하였다.

 

세레나데 - 퀸 메들리 - 붉은 노을

퀸 메들리

Dear my hero. 삶도, 삶을 메우는 음악도 내 가슴을 먹먹하게 했다. 영화가 끝나고 한참을 뭐라 표현 못 할 감정에 휩싸여 있었다. 말로, 언어로 표현하기 힘든 그 감정을 이 두 곡의 편곡으로 가슴 깊이 새긴다. 나의 영웅 프레디.

 

민요 산책

전국의 민요들을 산책하며 노닐 듯 즐길 수 있도록 만든 관현악곡이다. 경기민요인 닐릴리야로 시작하여 제주도의 이야옹타령, 황해도의 몽금포타령, 강원도의 강원도아리랑이 각각 다른 분위기로 펼쳐진다. 곡의 마지막에 다다르면 전라도의 강강술래와 경상도의 쾌지나칭칭나네가 흥겹게 연주된다.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1984523일에 창단된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은 전통음악 계승 발전 및 창작음악을 개발하여 해양수도 부산을 중심으로 폭넓게 활동을 펼치고 있는 연주단체이다.

전문연주자 70여 명으로 구성되어 현재까지 정기, 특별, 기획연주회와 덴마크, 터키, 싱가포르, 인도, 중국, 일본, 베트남, 대만, 인도네시아, 미국, 독일, 호주 등 국내외 다양한 연주회에서 우리음악을 수준 높게 소화해 내고 있다.

창단 초대 지휘자 이의경, 2대 지휘자 김영동, 3대 지휘자 김용만, 4대 지휘자 배양현, 5, 6대 지휘자 박호성, 7대 지휘자 김철호, 8대 지휘자 이정필, 예술감독 김정수, 9대 김종욱 수석지휘자, 현재 예술감독 이동훈을 영입하여 열정적이고 참신한 레퍼토리로 우리음악의 예술적 향상과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외교부에서 주최한 전국지자체 문화예술공연 해외파견공모에 2013년과 20152회에 걸쳐 선정되어 2013년에는 한-독 수교 130주년 기념 및 파독광부 50주년 기념공연을 독일 뒤셀도르프와 함부르크에서 성황리에 마쳤으며, 2015년에는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연주회를 일본 삿포로 시민홀에서 격조 있고 품격 있는 우리음악을 선보여 큰 박수갈채를 받았다.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은 우리음악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한국음악의 대중화 및 현대화 그리고 생활화를 추진하여 국내외에 한국 전통문화의 위상을 드높이고 있다.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소개

 

예술감독 이동훈

부지휘자 김경수

악장 김혜진(현악)

대금 손한별 강은주 강영진 엄익준 황두호 최재호 한영길 안헌영 송누리영 김소희

소금 조은경

피리 박순자 김용우 강영현 박영은 권미정 진형준 정주아 지영재 서영규 신형준

해금 윤해승 방병원 김민정 최윤정 정수경 이은주 최윤희 강민정 조희규 이선영

아쟁 홍영혜 최영훈 권혜정 최희정 박 일 박경진

가야금 윤경선 김지현 송영남 옥경화 정세희 하지희 김소정 최지아

거문고 이대하 오상훈 엄애리 박하혜 전혜정 이유진 전현진 송다솔 주윤정

타악 송강수 박재현 이주헌 장미진 최오성 최정욱 조혜진

성악 박성희 정선희

건반 김예진

악보 백규진

악기 김인균

출연진 프로필

 

지휘 이동훈

 

지휘 이동훈

· 추계예술대학교 국악과 졸업 동 대학원 졸업

·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 추계예술대학교 국악과 강사, 수원대학교 국악과 객원교수, 단국대학교 국악과 겸임교수 역임

· 경기도립국악단 상임단원 (2005~2016)

·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ASIA전통오케스트라 부지휘자 (2016~2018)

· 영동군난계국악단 상임지휘자 (2016~2017)

· 충주시립우륵국악단 상임지휘자 (2018~2023)

· 국립국악관현악단, KBS국악관현악단,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천안시충남국악관현악단 등

국내 유수 국악관현악단 지휘 (200여 회)

· 국립국악원, KBS국악관현악단,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진주시립국악관현악단 등

전국국악관현악단 위촉작곡 및 편곡 (500여 곡)

· 1회 이동훈 작곡 발표회 (국립국악원 우면당)

· )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사회 노주원

 

사회 노주원

· ) 부산TBN <즐거운 라디오, 노주원입니다> MC

부산MBC <라디오 시민세상> MC

부산국제영화제 배리어프리영화 성우

· ) 부산MBC <열전! MBC 노래방> MC

부산튜브 <지금은 15분 시대> 진행자

 

가야금병창 강명옥

가야금병창 강명옥

· 정읍 전국 국악 경연대회 종합대상

· 가야금병창 연주회 사월에향연’, ‘오월에향연외 다수 총연출

·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 부산대학교 한국음악학과 및 일반대학원 외래강사 역임

· )한국국악협회 부산광역시 지회장

 

가야금병창 김현정

가야금병창 김현정

·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수석졸업

· 중앙대학교 한국음악과 박사수료

· 18KBS 국악대경연 '장원'

·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 ) 부산여성문화회관 가야금 강사

중앙대학교 연희예술학부 외래교수

향사 박귀희 가야금병창 기념사업회 강사 및 운영위원

 

 

가야금병창 최유빈

· 전남대학교 국악학과 졸업

· 2022 3회 수원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대상

· 2022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젊은 국악협연

· 2023 최유빈의 가야금병창 개인 독주

· )한국국악협회 부산광역시지회 회원

 

가야금병창 백도경

가야금병창 백도경

· 서울예술대학교 재학

· 31회 부산전국청소년국악경연대회 종합대상

· 2023년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세종학당 문화인턴 강사역임

· )한국국악협회 부산광역시지회 회원

 

대금 김소희

대금 김소희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졸업 및 동대학원 석사 수료

· 국립부산국악원 객원단원 역임

· 2020 영산양재홀 영아티스트 대상 수상

· 2021 한국문화재재단 율객선정

· 2022 충주시립국악단 젊은예인

· ‘꿈꾸는 광대협연

· 2023 김소희 대금 독주회 II 靑春

· )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단원

 

남성4중창

 

테너 홍열매

테너 홍열매

· 부산대학교 음악학과 성악전공 졸업

· 8회 대학교향악축제 부산대학교 오케스트라 협연

· 삼성생명 열정서 힐링콘서트 출연

· Mozart <Requiem> solist

· Bach <Magnificat> solist

· Haydn <Die Schöpfung> solist

· ) 김해시립합창단 단원

 

테너 김성민

테너 김성민

· 고신대학교 교회음악과 졸업

·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졸업

· 창원시립합창단 단원역임

· ) 김해시립합창단 단원

 

바리톤 임성욱

바리톤 임성욱

· 경성대학교 음악학과 성악부문 수석졸업

· 가람아트홀 주최 신인음악회 출연

· 김해 차 박람회, 해반천 음악회 초청 연주

· 창원 국악관현악단 협연

· 오페라 <마술피리>, <투란도트>, <팔리아치>, 창작오페라 <윤흥신> 등 다수 오페라 주조역 출연

· ) 김해시립합창단 단원

 

바리톤 구본철

바리톤 구본철

·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졸업

· ITALY ROMA ACADEMIA CABRINI 수료

· 개천예술제, 마산음악협회, 부산음악협회 입상

· ) 김해시립합창단 단원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