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기아트센터, ‘아트 온 씨어터’ 진행
경기도무용단 <찬연> 스크린 상영으로 만난다

경기아트센터가 경기도무용단 레퍼토리 시즌 작품인 <찬연(燦然)>을 스크린을 통해 선보인다. 상영회는 1211() 오후 230CGV 광교와 1213() 오후 3CGV 의정부에서 진행된다.

2024년 경기도 뉴미디어 예술방송국 - 경기우수공연 영상화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아트 온 씨어터는 경기도예술단의 품격 있는 무대를 고화질 영상으로 제작하는 프로젝트다. 올해는 경기도무용단 <찬연><세종>,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十二작곡가>, 그리고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협주곡의 밤> 공연 실황을 영상으로 담아냈다.

아트 온 씨어터를 통해 제작된 작품 중 하나인 경기도무용단 <찬연>은 상영회를 통해 도민들과 먼저 만난다. 티켓은 무료로 제공되며, 경기아트온ON SNS 및 전화 문의를 통해 선착순으로 신청할 수 있다. 사전 예매가 어려운 관객들을 위해 현장 예매도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올해 촬영이 진행된 4편의 영상은 경기도 뉴미디어 예술방송국이 운영하는 온라인 플랫폼 경기아트온ON’ 홈페이지에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 상영회는 현장에서 관람하지 못한 경기도민들에게 경기도무용단의 무대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자 한다.

오는 1210일 공개될 아트 온 씨어터는 올해 상연된 경기도예술단의 공연을 누구나 경기아트온ON’으로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될 것이다.

관람문의 : 031-230-3474 / 경기아트온ON 인스타그램(@gyeonggi_arton)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4년 경기아트센터의 재단법인 출범 20주년 축하 개막 공연
경기도무용단 ‘찬연(燦然)’


경기아트센터의 설립일인 61일을 맞이하여, 경기도무용단이 찬연(燦然)’을 선보인다. 경기아트센터의 재단법인 20주년 페스티벌 개막공연이자, 눈부시게 영광스럽다는 찬연의 뜻을 상징적으로 담아 경기아트센터 20주년의 성과를 선보인다.

전통무용의 문화상품화

찬연은 전통무용 레퍼토리에 서사구조를 결합하여 스토리텔링(storytelling)화 한다. 서사구조에 전통무용을 배치하여 레퍼토리 춤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게 한다. 전통무용 레퍼토리의 고유성을 살리면서도 관람의 재미를 더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더한 것이다. 대부분 조선시대의 복식으로 전승되는 전통무용의 구성과 맥락을 같이 하여 한 편의 사극(史劇)처럼 다양한 상황을 통해 춤의 정조(情操)가 드러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선시대 임금의 태평성세 내용을 바탕으로 2막으로 구성하였다. 조선시대의 예악사상에 기반한 임금의 지혜로운 악무(樂舞)를 통한 치세(治世)를 표현하도록 전통무용 개별 춤을 의미있게 배치하였다. 1막에서는 월대(月臺)에 서서 하늘의 소리를 담고’, 2막에서는 민도(民度, 또는 민도(民道)에서 백성의 소리로 조화를 이루다.’이다.

<찬연>은 임금의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진행되며, 소리꾼 이봉근이 서사자의 역할을 맡는다. 이봉근은 2020KBS국악대상 판소리 부문 대상 수상자로 젊은 명창이다. 독립영화 <소리꾼>으로 제28회 대한민국 문화 연예 대상 영화 부문 신인상을 수상하며 배우로서도 그 역량을 인정받은 바 있다,

명창 이봉근이 펼치는 서사는 아니리로 풀어 다채로운 전통예술의 미학이 생동한다. 한바탕의 춤과 소리로 펼치는 대서사 <찬연>은 관객들에게 아름다운 사극의 정감을 만나게 할 것이다.

스 탭

예술감독·총괄 재구성 안무 : 김경숙 재구성 안무 : 최진욱, 이현주

연출 : 이재환 대본 : 김기화 음악 작·편곡 : 신원영 영상디자인 : 라지웅

조명디자인 : 김철희 무대감독 : 김봉곤 음향감독 : 하병길 영상감독 : 홍성민

기계감독 : 김창권

 

■세부내용

<찬연>은 가상(假想) 역사 춤 드라마에 속한다. 임금이 악무를 지어 완성했던 태평성세(太平聖歲)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구성한다. 조선시대 예()와 악()으로 사람들을 교화함으로써 이상적인 사회를 실현하려던 임금의 의지를 가창자인 임금의 서사로 구성하였다. 나라를 바로 잡아 백성이 태평한 시대를 맞이하는 가상의 상황을 구성하고, 어진 임금, 성군이 되기 위해 고뇌하는 임금의 어심과 그로 인해 펼쳐지는 악무를 통해 백성이 태평한 상황을 보여준다.

1막 월대에서 하늘의 뜻을 악(樂)으로 담다.

 

1장 월대에 선 왕의 고뇌_훈령무

2장 악으로 지은 예()_무고

3장 태평의 춤_태평무(강선영류)

 

2막 백성의 악(樂)으로 조화를 꾀하다.

 

1장 잠행(潛行)_진쇠춤(조흥동류)

2장 백성을 위한 노래_강강술래

3장 백성의 놀이, 풍요의 춤_풍물굿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