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수호갤러리는 2025508()부터 521()까지 11인의 현대미술 작가들이 참여하는 특별 기획전 <푸름을 수호하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수호갤러리의 2025년 연간 기획 대주제인 환경과 예술의 일환으로, 인간과 자연, 예술과 생명 사이의 관계를 다시 사유해보는 자리이다.

<푸름을 수호하다>는 동양화와 서양화, 구상과 추상을 아우르는 작가들이 참여하며, 각자의 방식으로 푸름이라는 상징적 개념을 시각화한다. 푸름은 단지 자연의 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지켜야 할 생명의 풍경이며, 예술가에게는 내면의 감각과 기억을 드러내는 창조의 기원이기도 하다.

참여 작가들은 기억의 풍경, 생태적 감수성, 상상 속의 자연 등을 다양한 시각 언어로 풀어낸다. 어떤 작품은 자연의 찰나를 회화적으로 포착하고, 또 어떤 작업은 생명과 자연의 관계에서 비롯된 상징적 구조를 구성하며 감상자에게 다양한 해석의 지점을 제안한다. 이는 자연과 생명의 조화를 탐구하며 예술을 통해 환경에 대한 감각적 통찰을 이끌어내려는 시도이다.

전시 기획의 주요 배경이 된 예술가 요셉 보이스(Joseph Beuys, 1921-1986)사회적 조각(Social Sculpture)’이라는 개념을 통해 예술을 단지 미적 활동이 아닌 사회적·생태적 실천의 도구로 확장했다. 그는 나무 심기 프로젝트나 대중 참여형 예술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정립하려 했으며, 그의 철학은 오늘날 환경을 주제로 작업하는 예술가들에게 지속적인 영감을 주고 있다.

<푸름을 수호하다>는 이처럼 예술이 자연을 단순한 배경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일부로서 함께 숨 쉬고 행동하는 존재임을 상기시키며, 오늘날 주목받고 있는 지속 가능성, 생명 중심주의, 공동체 감각을 예술적으로 풀어낸 전시이다.

한편, 수호갤러리는 지난 18년간 신진 작가 발굴 및 지원을 위한 공모전을 진행하며 역량있는 작가들에게 전시 기회를 제공해왔다. 또한, 신진 및 중견 작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주제의 기획전을 선보이며,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민하는 전시 흐름을 지속하고 문화 나눔 활동을 통해 지역 주민과 청소년 및 장애인 대상 프로그램으로 지역 사회와 예술을 연결해오고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연말, 예술로 만나는 사랑과 나눔의 메시지…


경기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수호갤러리는 ‘2024 Soohoh Sharing Love’ 을 오는 1218일부터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연말연시를 맞아 사랑과 나눔의 정신으로 한 해를 마무리하고 다가오는 새해를 준비하는 시기에, 예술을 통해 따뜻한 감동과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위대한 예술가인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1452~1519)예술은 우리의 삶에 더 많은 의미와 아름다움을 부여한다고 말한 바 있다. 수호갤러리는 우리의 일상을 예술로써 좀 더 풍요롭고 평화롭게 살아가길 바라며 작가 각자의 작품 세계를 미래지향적으로 재해석한 연말 기획 전시를 통해, 예술이 단순한 미적 표현을 넘어 인간 삶의 여정에서 서로에게 위로가 되고, 삶의 본질에 대해 사색하는 즐거운 전시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전시는 자신만의 독창적 언어로 작품활동을 하는 현대미술 작가 18인의 작품을 선보인다. 사랑과 연대, 공감의 메시지를 담은 작품들은 관람객들에게 따뜻하고 희망찬 이야기를 전하며, 새롭게 시작될 2025년에 대한 기대와 설렘을 느끼게 할 것이다. 수호갤러리는 이번 전시를 통해 나눔과 사랑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수호갤러리는 지난 16년 동안 매년 수호 아티스트 공모를 통해 열정적, 실험적인 시도를 하는 작가들을 선발하여 그들에게 다양한 전시 기회, 아트포럼, 멘토링을 제공해 주며, 역량 있는 작가들의 통로가 되기 위해 노력해왔다. 또한, 지역 주민과 청소년 및 장애인 대상 프로그램으로 꾸준히 문화 나눔을 진행해오고 있다.

 

다가오는 연말, 예술을 통해 사랑과 나눔의 의미를 되새기고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모두에게 특별한 연말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유토피아를 통해 치유와 회복의 시간 전달… 정성원 개인전<시간에 머물다>

 

-작업 초기부터 현재까지의 히스토리 선보이다

-순수한 마음, 행복의 아이콘

-따뜻함과 포근함으로 지친 영혼을 치유

-이상기후를 겪는 현대인에게 자연이 주는 아름다움 표현

 

전시명 시간에 머물다 Echoes of Time

전시작가 정성원

전시기간 20240905() ~ 1004()

전시장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121 더샵스타파크 G24호 수호갤러리

관람시간 -10:00~18:00, 토 예약제(일요일 및 공휴일 휴관)

전시장르 회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 속에서 현대인들에게 초현실적인 세상 유토피아를 통해 순수한 행복과 아름다움을 전달하는 정성원 작가의 개인전 <시간에 머물다 Echoes of Time>20240905()부터 20241004()까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위치한 (네이버본사 맞은편) 수호갤러리에서 열린다. 특히 이번 전시는 2014년 제6회 수호 아티스트 공모전에서 당선된 후 끊임없이 묵묵하게 미술 작업에 정진하는 정성원 작가의 작업 초기부터 현재까지의 히스토리를 시대별로 변화된 작품을 선보이며 대중들과 예술적 소통을 위해 기획된 전시로 그 의미가 더욱 특별하다.

 

정성원 작가는 영남대학교 서양화과 학사 및 홍익대학교 회화학과 석사를 졸업하였으며, 미술사조를 관통하는 작품의 논리를 초현실주의와 사실주의에 대한 탐구를 통해 작업을 하고 있다. 작품 속 작가가 만든 순수한 유토피아 세상에서는 현실에서 공존할 수 없는 다양한 동물들이 등장하는데 이것은 현대인들의 다양한 방식의 소통에 대한 이야기와 진정한 이상적인 자신의 작품세계를 통해 치유와 회복의 시간에 대해 생각하도록 한다. 이번 개인전 <시간에 머물다 Echoes of Time>에서 선보이는 신작은 생명의 빛과 어둠 간의 대조를 화폭에 담아 비유적이면서 시각적인 메시지를 통해 편견 없는 삶에서 오는 다양한 행복 추구와 생명의 순환에 대해 공감하게 만든다.

 

순수한 마음, 행복의 아이콘

토끼와 양과 사슴, 코끼리와 말과 펭귄과 같은 동물들을 행복의 아이콘으로 제안한다. 동물과 사람은 다르다(물론 생물학적으로 사람도 동물이지만). 동물이 아닌 만큼 동물의 생각을 알 수는 없으나, 적어도 사람이 보기에 동물들은 하나같이 귀엽고 예쁘고 순수하다. 동물들을 보면 저절로 행복해지는 것으로 보아, 행복의 아이콘이랄 만하다. 그러나 여기서 동물이 저절로 행복의 아이콘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동물은 언제 어떻게 행복의 아이콘이 되는가. 또한 그 등식이 가질 수 있는 의미는 뭔가. 동물이 순수(그리고 행복) 하다고 느끼는 것은 전적으로 동물의 입장에서가 아닌, 사람이 동물에 투사한 감정이고 감정이입의 결과다. 순수한 어린아이가 순수한 동물을 본다. 스스로 순수하지 않으면 순수한 존재를, 존재의 순간을 알아차릴 수도 보아낼 수도 없다. 작가에게 행복이란 순수와 동의어이다. 순수한 것이 행복한 것이다. 순수한 동물을 빌려 어린아이와도 같은 순수한 마음을 동경하는 것이며, 행복한 동물을 통해 상실한 유년을 되찾고 싶은 것이다. 그 순수한 마음을 되찾을 때 비로소 순수한 존재를 알아차릴 수도 보아낼 수도 향유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비로소 행복해질 수도 있는 일이다. 그렇게 작가의 그림은 동물을 매개로 사실은 상실한 유년을 되찾고 순수한 마음을 회복하는 기획을 의미한다고 해도 좋다. 상실한 상상계의 복원을 꿈꾼다고 해도 좋다(Jacques Lacan, 1901-1981). 개인의 기억을 넘어서는, 무의식보다 깊은, 원형적 기억을 소환하고 있다고 해도 좋다(Carl Gustav Jung, 1875-1961). 그러므로 어쩌면 상실의 시대를 사는 어른들을 위한 우화를 지향한다고 해도 좋다. (고충환, 미술평론가)

 

수호갤러리는 기후변화로 인한 전 지구적 이상기후와 극심한 자연재해에 직면하는 현대인들에게 자연이 주는 아름다움과 순수한 행복의 이야기를 따뜻한 감성으로 표현하고, 생태계의 순환에 대해 해안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이번 전시와 관련하여 정성원 작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유토피아 세상 속 순수한 행복을 의미하는 동물들이 조우하는 자연에서 주는 아름다움을 통해 고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따뜻함과 포근함으로 지친 영혼이 치유되길 소망한다.”라고 전했다. 2024년 가을 수호갤러리에서 열리는 정성원 작가의 개인전 <시간에 머물다 Echoes of Time>1004일까지 진행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내외 12명의 현대미술 작가 재조명…수호갤러리 특별전 <절제, 연대 – 삶의 서사>

- 국내외 유명 작가, 주목해야 할 K-아티스트한자리에 모이다

- 한국 현대미술의 거장 김창열물방울, 회귀 등 연도별 다양한 작품 선보이다

- 동서양의 철학으로 절제와 치밀한 작품50여 점 출품

- 절제된 예술작품을 통해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은 사유 전달

전시명 수호특별전 Part.4 <절제, 연대 – 삶의 서사> 전시작가 Eva Armisen, Liz, 국대호, 김성호, 김정희, 김창열, 변용국, 신중태, 유혜리, 정성원, 하루.k, 한지영 전시기간 2024년 07월 29일(월) ~ 08월 16일(금) 관람시간 월-금 10:00~18:00, 토 예약제 (일요일 및 공휴일 휴관) 전시장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121, 더샵스타파크 G동 24호 수호갤러리 전시장르 회화

 

 

한국 현대미술 거장 김창열 화백부터 국내외 유명 작가 Eva Armisen, 국대호 그리고 현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정성원, 변용국, 하루.K, 김성호 등 12명의 역량 있는 K-아티스트들의 다채로운 작품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수호갤러리 특별전 Part.4 <절제, 연대 삶의 서사>20240729()부터 20240816()까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위치한 (네이버 본사 맞은편) 수호갤러리에서 열린다.

특히 이번 전시는 동서양의 다양한 예술 철학으로 치열한 작품 세계를 구축해가고 있는 현대미술 작가들을 시대적 담론을 담아 재조명하는 수호갤러리의 2024<절제, 연대 프로젝트>로 그 의미가 더욱 특별하다. 물방울 화가이자 현대미술의 거장 김창열(1929-2021) 화백의 물방울, 회귀 등 제작연도에 따른 시대별 다양한 표현을 구사한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며, 현재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K-아티스트들의 50여 점 정도의 작품들로 전시가 구성된다.

수호갤러리 이지수 관장은 전 세계적으로 기후 온난화와 전쟁 그리고 갈등이 거듭되는 현재, 여느 때보다 앞으로 다가올 삶의 회복과 위로가 중요한 시기이다. 인간의 삶 속에서 절제를 통해 삶의 본질에 대한 깊은 사유와 선한 연대의식을 체험하고, 인간성 회복과 행복으로 가는 여정이 되길 소망한다.”라고 전했다. 주목해야 할 K-아티스트들의 각자의 방법과 담론으로 풀어낸 예술 작품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수호갤러리 특별전 Part.4 <절제, 연대 삶의 서사>는 오는 816일까지 진행된다.

한편, 수호갤러리는 지난 16년 동안 매년 수호 아티스트 공모를 통해 열정적, 실험적인 시도를 하는 작가들을 선발하여 그들에게 다양한 전시 기회, 아트포럼, 멘토링을 제공해 주며, 역량 있는 작가들의 통로가 되기 위해 노력해왔다. 또한, 지역 주민과 청소년 및 장애인 대상 프로그램으로 꾸준히 문화 나눔을 진행해오고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