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예술분야 AI 접목 사례 공유 및 활용 방안 논의를 위한 AI세미나 개최
부산광역시립예술단이 오는 1119() 오후 3시 부산문화회관 챔버홀에서 생성형 AI 기술이 공연예술(공연장, 예술단체)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한 AI 세미나 <AI가 바꾸는 공연예술의 풍경>을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현재 AI 기술의 발전현황과 공연, 영화 등 다양한 예술분야에서의 AI 활용사례를 공유하고, 앞으로 공연예술 분야에 AI가 미칠 영향과 부산시립예술단이 선도해나갈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부산시립예술단 7개 단체와 부산의 문화예술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하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박희진 부산보건대 사회복지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 발제와 토론을 이끌어 간다.

행사는 AI와 문화예술(공연예술을 중심으로) AI 공연제작 사례분석 및 공공공연장, 시립예술단의 발전방안 제언 유사 분야(영화) AI 작품 제작 사례에 대한 발표와 전문가 종합토론이 이어진다.

모두발제를 맡은 김주섭 교수(서강대 Art&Technology 학과)는 예술단체, 공연장 영역에서의 AI 도입 가능성, AI 창작물 개념 및 범주, 그에 따르는 저작권 등 법적 이슈에 대해 이야기한다. 특히, 지난 2019년 진행한 부산시립무용단의 공연남풍미디어아트 협업 사례를 공유하며 공연예술 분야에서의 AI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어 손상원 대표(국립정동극장장)는 공연예술 분야의 AI 기술 적용 현황과 국내 최초 인공지능 AI 시극 파포스AI 창작물 사례를 바탕으로 공공공연장과 시립예술단이 AI 기술발전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전병원 연구교수(동의대 영화트랜스미디어연구소)는 관련 분야에서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영화 분야의 AI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 문화예술 분야의 AI 기술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발표가 마무리된 이후에는 지난 2023AI로봇 지휘자 에버6와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총괄했던 국립국악관현악단 여미순 단원(전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직무대행)이 토론자로 참여하여 AI 공연제작 실제 사례를 토대로 AI 기술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공유하고, 부산시립무용단 이정윤 예술감독, 부산시립극단 김지용 예술감독이 토론자로 함께 참여한다.

()부산문화회관 차재근 대표이사는생성형 AI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중문화뿐만 아니라 순수 공연예술 분야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이번 세미나를 통해 부산을 대표하는 공공 공연장과 예술단체로서 부산문화회관과 부산시립예술단이 선도해나갈 방향을 고민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부산시립예술단 AI 세미나는 구글폼(https://forms.gle/nYQjLRHXHmD3XB2e6)을 통한 사전신청 후 참여가 가능하며, 사전에 등록한 선착순 200명을 대상으로 기념품도 증정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시립무용단 제90회 정기공연
2024. 10. 25.(금) 19:30, 26(토) 15:00,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


부산시립무용단 제90회 정기공연 무가(舞歌) <용호상박>1025()부터 1026()까지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가무악을 갖춘 한국전통형 오페라

판소리 적벽가를 춤극으로 승화시킨 <용호상박>은 지난 2021년 부산시립무용단의 춤 브랜드화 시리즈의 서막을 알리는 공연으로 시작된 <-본색> 공연에서 소개된 이후 지속적으로 작품을 보강하고 다듬어 이번 무대에 올린다.

2014년에 초연된 <용호상박>2021년에 국수호 연출가, 이정윤 예술감독과 부산시립무용단이 함께 최초로 장편의 춤극(군무버전)으로 안무를 재구성하여 시립무용단만의 우수한 레퍼토리로 재탄생시켰으며, 한국춤 창작의 다양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여 평단과 관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원작 국수호의 연출과 이정윤 예술감독의 협력 연출, 안무

한국을 대표하는 박동우 무대 디자이너와 국수호 연출가가 창안한 한국춤 전용극장 형식의 무대와, 한승석 작창가가 재해석한 판소리 적벽가, 그리고 김태영 음악감독과 판소리 명창들의 소리와 음악으로 더욱 다채롭게 구성되었다. 또한 김지원 의상디자이너, 김장연 영상디자이너, 김익현 조명디자이너, 양동민 비주얼디렉터의 예술세계와 감각으로 한 층 더 깊이 있는 무대를 시민들에게 보여줄 예정이다.

2024<용호상박>은 부산시립무용단의 예술의 혼으로 완성

부산시립무용단의 춤으로 2024년 새롭게 탄생하는 <용호상박>은 대립과 분쟁의 허무함과 전쟁의 공허함을 작품의 주제와 메시지로 담아 공존과 화합의 시대에 놓인 우리들의 초상을 표현한다.

이번 공연은 1025() 저녁 730, 26() 오후 3시에 양일간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진행되고 초등학생 이상부터 관람이 가능하다. R석은 3만원, S석은 2만원으로 판매중이며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를 통해 예매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시립무용단 제89회 정기공연
빙 빙 (being being)
연출․안무/ 이정윤, 음악감독/ 손성제
5.17.(금)19:30 / 5.18(토)15:00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부산시립무용단 제89회 정기공연 <빙빙 being-being>이 오는 517()부터 518() 이틀간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지난 2023, 부산시립무용단의 창단 50주년을 기념하는 <The 50th, Time to Dance> 를 주제로 시즌 공연과 기념사업으로 무용단의 유산적 가치를 조명하였다면, 미래의 첫걸음을 시작하는 올해는 앞으로 다가올 또 다른 반세기를 위한 첫걸음을 시작하는 해이며 그 첫 무대이다.

이번 정기공연은 2024년 무용단 시즌 공연의 기조인 <춤으로 상생, 그리고 Human Dance>를 주제로 열어가는 첫 작품으로 무대에 올린다. 새로운 시대, 다양한 문화와의 조화가 요구되는 시대에 소통과 상생을 주제로 하는 작품들과 기획공연을 통하여 인간성 회복과 자기 주도적인 오늘날의 일상을 위한 각성제와 같은 힘으로 작용하길 바라는 마음을 담은 신작이다.

<빙빙 being-being> ‘춤과 사람, 삶의 무용을 주제로 풀어내는 신작으로 제목에서 느껴지듯이 빙빙이 가지는 중의적 의미와 함께 우리를 맴도는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이다.

89회 정기공연에서는 빙(being1), (being2) 두 개의 작품으로 무대를 구성하는데 1’에서는 순환, 시작과 끝, 그리고 삶의 균형에 대한 이야기로 삶의 연속성과 무한함을 민속무용 강강술래를 배경으로 원(원형)에 대한 이미지를 사회적 교류와 소통으로 무용적 해석을 하는 삶에 대한 예찬으로 그린다.

2’에서는 장부들의 삶. 온전한 쉼에 대한 이야기로 집에서 집으로, 길을 나선 걸음에 위로와 격려가 되는 약속의 길과 그리움의 길.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남성들의 삶과 어딘가로 부터 떠나온 자들의 숙명과 돌아갈 곳에 대한 동경을 그려낸다.

각 파트의 시공간을 구분하여 해석하는 무대와 미장센, 영상 아트웍, 음악은 손성제 뮤지션의 국악적 해석으로 접근하는 월드뮤직을 작품 음악으로 사용하며, 두 작품의 교차점에 무용가 이정윤(시간여행자)이 주제를 관통하는 역할을 한다.

2020년 부산시립무용단의 11대 예술감독으로 재임하면서 현재까지 다양한 주제와 우리 문화예술의 정서와 더불어 창의적 요소가 돋보이는 국제적 감각이 뛰어난 한국 창작 춤의 무대화에 기여해 왔다.

특히 이번 공연에는 국립무용단의 스타 수석무용수였던 이정윤 예술감독이 직접 출연한다. 무용단의 수석무용수인 강모세 단원과 부수석 무용수인 김미란 단원이 조안무로 참여, 무용단원들의 작품연습과 훈련에 함께 하고 있다.

이정윤 예술감독은 이번 공연을 준비하면서 초심의 마음과 더욱 깊어진 걸음으로 또 다른 춤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문화예술사업과 공연으로 새로운 해를 더욱 의미 있게 채워 나가려 한다라고 밝혔다.

<빙빙 being-being>멈춤의 날(Dream 0)’에 나를 보고, 우리를 보고, 다시 나아갈 세상을 바라보는 에너지와 움직임의 형태를 의미한다고 한다. 이번 공연과 함께 더 단단히 나아가는 부산시립무용단의 2024년 남은 공연들은 또 어떠한 주제로 관객과 만나게 될지 기대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