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산시립무용단 제90회 정기공연
2024. 10. 25.(금) 19:30, 26(토) 15:00,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


부산시립무용단 제90회 정기공연 무가(舞歌) <용호상박>1025()부터 1026()까지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가무악을 갖춘 한국전통형 오페라

판소리 적벽가를 춤극으로 승화시킨 <용호상박>은 지난 2021년 부산시립무용단의 춤 브랜드화 시리즈의 서막을 알리는 공연으로 시작된 <-본색> 공연에서 소개된 이후 지속적으로 작품을 보강하고 다듬어 이번 무대에 올린다.

2014년에 초연된 <용호상박>2021년에 국수호 연출가, 이정윤 예술감독과 부산시립무용단이 함께 최초로 장편의 춤극(군무버전)으로 안무를 재구성하여 시립무용단만의 우수한 레퍼토리로 재탄생시켰으며, 한국춤 창작의 다양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여 평단과 관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원작 국수호의 연출과 이정윤 예술감독의 협력 연출, 안무

한국을 대표하는 박동우 무대 디자이너와 국수호 연출가가 창안한 한국춤 전용극장 형식의 무대와, 한승석 작창가가 재해석한 판소리 적벽가, 그리고 김태영 음악감독과 판소리 명창들의 소리와 음악으로 더욱 다채롭게 구성되었다. 또한 김지원 의상디자이너, 김장연 영상디자이너, 김익현 조명디자이너, 양동민 비주얼디렉터의 예술세계와 감각으로 한 층 더 깊이 있는 무대를 시민들에게 보여줄 예정이다.

2024<용호상박>은 부산시립무용단의 예술의 혼으로 완성

부산시립무용단의 춤으로 2024년 새롭게 탄생하는 <용호상박>은 대립과 분쟁의 허무함과 전쟁의 공허함을 작품의 주제와 메시지로 담아 공존과 화합의 시대에 놓인 우리들의 초상을 표현한다.

이번 공연은 1025() 저녁 730, 26() 오후 3시에 양일간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진행되고 초등학생 이상부터 관람이 가능하다. R석은 3만원, S석은 2만원으로 판매중이며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를 통해 예매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재)부산문화회관, 청년예술인 역량강화를 위한
제1기 공연예술 아카데미 운영


()부산문화회관은 부산지역 공연예술(연극) 산업 분야의 역량확장을 위한 전문교육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부산지역 청년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공연예술 아카데미를 새롭게 시작한다.

() 위탁사업으로 올해 처음 진행하는 공연예술 아카데미 사업은 지역 청년 예술인들의 기량 향상에 도움이 되는 심화 교육프로그램과 작품 참여 기회를 제공하여 지역공연생태계 발전 동력인 공연예술 전문 인력양성을 목표로 하는 사업이다.

교육과정은 경성대학교 조창주 교수의 샌포드 마이즈너 연기 접근-행동의 사실성연기교육과 함께 연기 메소드, 움직임, 보컬 등 총 4주간 심화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SKY 캐슬등에서 변화무쌍한 연기를 보여준 유성주 연극배우와의 특강 등으로 구성, 전공 학생들은 물론 기성 극단의 배우들에게도 특별한 교육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교육생들은 4주의 교육과 함께 11월로 예정된 부산시립극단의 스타프로젝트 작품에 직접 참여하여 부산시립극단 배우들과 호흡하며 객원 배우로 공연에 출연하게 된다.

()부산문화회관 차재근 대표이사는 공연예술 아카데미 사업은 부산문화회관에서 진행중인 공연장 전문인력 양성사업과 더불어 지역 공연예술시장을 이끌어갈 차세대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사업으로 청년 예술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으며 앞으로도 지역의 청년 예술인들이 꿈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정착 기반 조성을 위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참가 자격은 관련학과 졸업자(졸업예정자 포함)나 기성 극단에서 배우로 3회 이상 참여한 39세 이하의 배우라면 누구나 응시할 수 있다. 신청은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 부산시립예술단 공연사업팀(051-607-3110~1)으로 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시립무용단 제89회 정기공연
빙 빙 (being being)
연출․안무/ 이정윤, 음악감독/ 손성제
5.17.(금)19:30 / 5.18(토)15:00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부산시립무용단 제89회 정기공연 <빙빙 being-being>이 오는 517()부터 518() 이틀간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지난 2023, 부산시립무용단의 창단 50주년을 기념하는 <The 50th, Time to Dance> 를 주제로 시즌 공연과 기념사업으로 무용단의 유산적 가치를 조명하였다면, 미래의 첫걸음을 시작하는 올해는 앞으로 다가올 또 다른 반세기를 위한 첫걸음을 시작하는 해이며 그 첫 무대이다.

이번 정기공연은 2024년 무용단 시즌 공연의 기조인 <춤으로 상생, 그리고 Human Dance>를 주제로 열어가는 첫 작품으로 무대에 올린다. 새로운 시대, 다양한 문화와의 조화가 요구되는 시대에 소통과 상생을 주제로 하는 작품들과 기획공연을 통하여 인간성 회복과 자기 주도적인 오늘날의 일상을 위한 각성제와 같은 힘으로 작용하길 바라는 마음을 담은 신작이다.

<빙빙 being-being> ‘춤과 사람, 삶의 무용을 주제로 풀어내는 신작으로 제목에서 느껴지듯이 빙빙이 가지는 중의적 의미와 함께 우리를 맴도는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이다.

89회 정기공연에서는 빙(being1), (being2) 두 개의 작품으로 무대를 구성하는데 1’에서는 순환, 시작과 끝, 그리고 삶의 균형에 대한 이야기로 삶의 연속성과 무한함을 민속무용 강강술래를 배경으로 원(원형)에 대한 이미지를 사회적 교류와 소통으로 무용적 해석을 하는 삶에 대한 예찬으로 그린다.

2’에서는 장부들의 삶. 온전한 쉼에 대한 이야기로 집에서 집으로, 길을 나선 걸음에 위로와 격려가 되는 약속의 길과 그리움의 길.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남성들의 삶과 어딘가로 부터 떠나온 자들의 숙명과 돌아갈 곳에 대한 동경을 그려낸다.

각 파트의 시공간을 구분하여 해석하는 무대와 미장센, 영상 아트웍, 음악은 손성제 뮤지션의 국악적 해석으로 접근하는 월드뮤직을 작품 음악으로 사용하며, 두 작품의 교차점에 무용가 이정윤(시간여행자)이 주제를 관통하는 역할을 한다.

2020년 부산시립무용단의 11대 예술감독으로 재임하면서 현재까지 다양한 주제와 우리 문화예술의 정서와 더불어 창의적 요소가 돋보이는 국제적 감각이 뛰어난 한국 창작 춤의 무대화에 기여해 왔다.

특히 이번 공연에는 국립무용단의 스타 수석무용수였던 이정윤 예술감독이 직접 출연한다. 무용단의 수석무용수인 강모세 단원과 부수석 무용수인 김미란 단원이 조안무로 참여, 무용단원들의 작품연습과 훈련에 함께 하고 있다.

이정윤 예술감독은 이번 공연을 준비하면서 초심의 마음과 더욱 깊어진 걸음으로 또 다른 춤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문화예술사업과 공연으로 새로운 해를 더욱 의미 있게 채워 나가려 한다라고 밝혔다.

<빙빙 being-being>멈춤의 날(Dream 0)’에 나를 보고, 우리를 보고, 다시 나아갈 세상을 바라보는 에너지와 움직임의 형태를 의미한다고 한다. 이번 공연과 함께 더 단단히 나아가는 부산시립무용단의 2024년 남은 공연들은 또 어떠한 주제로 관객과 만나게 될지 기대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