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수석지휘자 백승현)의 제76회 정기연주회 메멘토가 오는 41()에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진행된다. 올해로 31살이 된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은 신록의 계절을 맞이하여 강한 내면과 진심 어린 감성을 모두 표현해 내는 최고 수준의 연주자라는 극찬을 받은 피아니스트 박종해와 함께 2025년의 첫 무대를 보여줄 예정이다.

이번 무대는 러시아의 위대한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그리고 지휘자로 19세기 낭만주의 음악의 마지막 계승자라 평가받는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1873~1943)의 작품들을 선보인다. 수석지휘자 백승현의 지휘 아래 탄탄한 기량을 선보이기 위해 연일 연습에 매진하고 있다.

첫 곡인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19348월에 완성되었고, 1934117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이루어졌다. 독주는 작곡가 라흐마니노프가 직접 맡았다. 그가 피아노와 오케스트라 편성을 위해서 쓴 마지막 작품인 이 곡은, 니콜로 파가니니의 무반주 바이올린 카프리스 24번에서 기반하여 24개의 변주곡을 만들었으며 특히 18번 변주곡이 가장 유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번째 곡인 교향곡 제2번은 그가 30대인 1907년 봄에 완성되었고, 이듬해 1월에 직접 지휘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 마린스키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작품 전반에 걸쳐 낭만적인 감성이 흐르는 가운데 관현악의 다채로운 색깔이 인상적인 작품이다. 이 곡으로 그는 두 번째 글린카 상을 수상하였다.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를 졸업한 피아니스트 박종해는 2018년 게자 안다 국제피아노콩쿠르에서 준우승하면서 평단의 호평을 자아냈다. 대담하고 자유로운 표현으로 각광받는 그는 홍콩 국제피아노콩쿠르 최연소 2, 나고야 국제음악콩쿠르 2, 더블린 국제피아노콩쿠르 최연소 2위와 함께 최우스 협주곡 연주 특별상 및 최우수 모차르트 연주 특별상,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입상 및 최연소 연주자 특별상 등 다양한 국제 콩쿠르에서 수상하며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렸다. 또한 프랑스 안시 뮤직 페스티벌, 노르웨이 노드란드 뮤직 페스티벌 같은 세계 유수의 페스티벌에 초청되는 등 다양한 무대에서 연주력을 인정받기도 하였다.

국내에서도 KBS교향악단, 국립심포니, 경기필하모닉, 부천필하모닉, 대전시립교향악단 등과 협연하며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평창대관령음악제, 통영국제음악제 등 유서 깊은 무대에 초청받아 연주했다.

2019년에는 금호아트홀 상주 음악가를 역임하며 독보적인 상상력과 개성 있는 음악을 선보였으며, 꾸준히 실내악 무대에 오르며 탁월한 음악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은 1994년 창단 이후 부산지역의 젊은 음악인들이 모여 다양한 연주활동과 교육 등을 통해 부산 음악의 미래를 열어나가고 있다. 날이 갈수록 향상된 기량을 보이고 있는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은 정기연주회와 특별연주회, 찾아가는 연주회 등으로 부산 시민과 만나고 있다.

이번 정기연주회는 전석 5천원에 판매중이며, 예매는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www.bscc.or.kr) 및 전화(051-607-6000)으로 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 민간 오케스트라 4개 단체가 선보이는 부산 클래식의 저력

2025. 2. 20(목)/4.4(금)/5.29(목)/7.25(금) 19:30,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브람스 교향곡 1~4번 전곡 연주, 일명 브람스 사이클

()부산문화회관(대표이사 차재근)2025년 상반기 기획공연 시리즈로 부산에서 오랫동안 꾸준히 활동해 온 민간 오케스트라 4개 단체와 함께 브람스 교향곡’ 1~4번 전곡을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연주한다. 일명 브람스 사이클이다.

220일 목요일 오후 730, 유나이티드 코리안 오케스트라가 교향곡 2번으로 포문을 열고 44일 부산심포니오케스트라가 교향곡 1번을, 529일 부산네오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교향곡 4번을 연주하며 725일 인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가 교향곡 3번 연주를 맡아 시리즈를 완성한다. 각 공연에는 브람스 교향곡뿐만 아니라 수준 높은 협연자도 초청하여 더욱 풍성한 무대를 마련한다.

<Sound of Busan #1 : 브람스 사이클(교향곡 제2번 외)>

220, 유나이티드 코리안 오케스트라와 지휘 장윤성, 피아노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협연

브람스 교향곡 2,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연주

2006년 창단한 부산 최초 민간 자선 오케스트라, 유나이티드 코리안 오케스트라는 지휘자 장윤성, 피아니스트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협연으로 한국인이 가장 사랑한 클래식곡 1위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과 브람스 4개 교향곡 중 전원교향곡이라 불릴 정도로 가장 밝은 분위기곡인 2번 교향곡을 무대에 올린다.

지휘자 장윤성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작곡을 전공하고, 동대학원 지휘전공을 수료한 후 비엔나 국립 음대 지휘과를 졸업하였다. 러시아 프로코피예프 국제지휘자 콩쿠르 2, 도쿄 국제지휘자 콩쿠르 1위 없는 2위에 입상했으며 울산시향·창원시향·대전시향 및 부천필 상임지휘자 역임 후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러시안 피아니스트 일리야 라쉬코프스키는 하마마쓰 국제피아노 콩쿠르 1, 롱티보 크레스팽 콩쿠르 2,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4위 등 세계 유수의 콩쿠르를 석권한 후 국제적인 명성의 오케스트라, 솔리스트와의 협연과 솔로 리사이틀 공연으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피아니스트로 현재 성신여대 음악대학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Sound of Busan #2 : 브람스 사이클(교향곡 제1번 외)>

44, 부산심포니오케스트라와 지휘 지중배, 바이올린 김다미 협연

브람스 교향곡 1,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 창작곡 완성의 여정 초연

1993년 창단, 30여 년 역사를 가진 부산심포니오케스트라는 지중배 지휘로 부산출신 차세대 작곡가 김종완의 창작곡 완성의 여정 초연과 브람스 생애 단 하나뿐인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작품 77을 바이올리니스트 김다미와 함께하고 브람스 교향곡 1번으로 대미를 장식한다.

지휘자 지중배는 서울대 및 독일 만하임 국립음대를 졸업하고 거장 카라얀이 수석지휘자로 있었던 독일 울름 시립극장 및 울름 시립교향악단과 독일 트리어 시립극장 및 시립교향악단의 수석지휘자 및 부 음악총감독으로 활동했다. 독일 음악협회 미래의 거장 10인에 선정되었고 독일 오페레타상 지휘상을 동양인 최초로 수상했으며 광복 70주년 유라시아 친선특급 폐막음악회에서 한·독 연합오케스트라를 지휘한 바 있다.

독일 하노버 요아힘 국제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주목받은 바이올리니스트 김다미는 파가니니 국제콩쿠르에서 1위 없는 2위 및 최고 파가니니 카프리스 특별상, 일본 나고야 무네츠구 국제콩쿠르 우승 및 특별상을 받았다. 스위스 루체른 페스티벌 데뷔 독주회 무대 전석 매진 등 다양한 축제에 초청받고 기돈 크레머 등 저명 연주자들과 함께 무대에 오르고 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Sound of Busan #3 : 브람스 사이클(교향곡 제4번 외)>

529, 부산네오필하모닉오케스트라와 지휘 홍성택, 피아노 노윤화 협연

브람스 교향곡 4, 브람스 대학축전 서곡,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5번 황제 연주

2009년 창단한 민간 오케스트라로 2013년부터 18년도까지 금정문화회관 상주단체로 금정구의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부산네오필하모닉오케스트라는 상임지휘자 홍성택과 피아니스트 노윤화의 협연으로 브람스의 대학축전 서곡, 베토벤 피아노협주곡 5번 황제, 브람스 교향곡 4번을 연주한다.

지휘자 홍성택은 서울대 클라리넷 전공으로 동아콩쿠르 입상 및 프랑스 이에르 국립음악원, 프랑스 사띄옹 시립음악원 최우수과정을 졸업했다. 부산시립교향악단 클라리넷 수석단원을 역임하다 러시아 그네신 국립음악원 지휘전공을 졸업하면서 지휘자로서의 길을 걷고 있다. 한국 최초 창작 오페라 아리랑을 지휘한 바 있으며 현재 부산네오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관객을 새로운 공간으로 이동시키며 색채로 가득한 모험을 시켜주는 연주자(Hyde Park Herald)”라는 평을 받으며 미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피아니스트 노윤화는 뉴잉글랜드 음악원 석사, 존스홉킨스 피바디 음대 연주자과정 졸업 및 인디애나 음악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러시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협연을 시작으로 수많은 무대를 가졌으며 실내악에서도 활발한 연주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재 워싱턴 주립대학교 피아노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Sound of Busan #4 : 브람스 사이클(교향곡 제3번 외)>

725, 인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와 지휘 윤상운, 비올라 김남중, 클라리넷 백동훈 협연

브람스 교향곡 3, 브루흐 클라리넷과 비올라를 위한 2중 협주곡, 베버 오이리안테 서곡 연주

1996년 창단한 사단법인 인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는 지휘자 윤상운, 비올리스트 김남중, 클라리네티스트 백동훈 협연으로 독일 초기 낭만주의의 대표자인 칼 마리아 폰 베버의 오이리안테 서곡을 시작으로 후기 낭만파인 막스 브루흐의 클라리넷과 비올라를 위한 이중 협주곡’, 마지막으로 후기 낭만주의의 상징인 작곡가 브람스의 교향곡 3을 연주한다.

지휘자 윤상운은 서울대 작곡과 및 오스트리아 그라츠 국립음대 지휘과 최고과정을 졸업하고 부산시립교향악단 부지휘자 및 진주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를 역임했다. 현재 동의대학교 음악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인코리안 심포니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을 맡고 있고 카메라타 부산을 결성하여 젊은 음악인들과 새로운 시도에도 힘을 쏟고 있다.

비올리스트 김남중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실기 수석으로 입학하고 인디애나대학교 대학원 전문연주자과정을 전액 장학생으로 졸업했다. 세계 최고 비올리니스트 아이작 스턴(Issac Stern)에게 발탁돼 카네기홀에서 연주했으며 세계적인 비올리스트 아타 아라드(Atar Arad)가 그녀를 첫 한국인 제자로 삼았다. 서울시립교향악단에서 약 9년간 활약 후 솔리스트로 전향했고 2016년에는 비올리스트 최초로 뉴욕 UN 본부 총의회장 독주 무대를 펼치고 UN 국제 평화 기여 예술가상을 수상했다.

클라리네티스트 백동훈은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중앙 영재 음악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말메종 국립음악원과 파리 국립음악원,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대학원 및 연주자과정을 졸업했다. 64회 동아음악콩쿠르에 입상하고 금호 영 아티스트에 선정되어 협연, 실내악 축제 초청 등 활발한 연주활동을 펼치고 있다.

부산 클래식의 저변 확대를 위해 꾸준히 활동해 온 각 단의 열의만큼 이번 시리즈 공연에서 자부심과 저력 있는 연주로 부산시민들의 환호를 이끌고 깊은 인상을 심는 무대를 기대해 본다. 티켓 가격은 R3만원, S2만원이며 7세 이상부터 관람 가능하다. 공연 상세정보는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www.bscc.or.kr) 및 전화(051-607-6000)으로 확인 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