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수호갤러리는 제16회 수호 아티스트 공모 당선 작가인 유혜리 작가의 개인전 <우리들의 초상화> 를 오는 202535()부터 318()까지 개최한다. 유혜리 작가는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 그리고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바탕으로 동화적이고 은유적인 표현 기법을 활용해 감성적인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물고기를 주요한 모티프로 활용하여 현대인의 정체성과 관계성, 소통의 문제를 깊이 탐구하며, 환상과 현실이 교차하는 독창적인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우리들의 초상화라는 주제로, 작가가 오랫동안 연구해온 데페이즈망 (낯설게 하기) 기법을 통해 인간과 자연, 현실과 환상이 공존하는 독특한 회화적 서사를 펼친다. 작품 속 물고기는 단순한 동물이 아닌,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반영하는 상징적 존재로 기능하며, 익숙한 듯 낯선 장면 속에서 삶의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

이는 우리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를 발견하고 성장해가는 과정과 맞닿아 있다.

작가 노트

니콜라부리오는<관계의 미학>에서 이렇게 말했다. 예술에서 중요한 것은 변화된 세상을 읽고 인간에게 더 나은 삶의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라고. 20세기 자본주의 시대로의 변화 때문에 자본의 유무와 소유에 따라 인간의 존재를 결정한다. 소유의 가치를 중시하는 사회에서 인간 가치도 결정되고,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 또한 수직적인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나는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와 소통, 그리고 인간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고민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삶의 형태에 우열은 없으며, 각자가 삶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태도는 작품의 동기가 되며 궁극적으로는 예술을 통해 인간의 삶이 변화될 수 있기를 소망하며 은유적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나의 작업은 인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작품에는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다.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우화의 형식을 빌려 밝고 재미나게 보이지만, 이면에는 한 번쯤 생각하며 삶에 대한 진지함을 내포하고자 한다.

- 유혜리 작가노트

우화 혹은 삶의 서사, 물고기를 통해 본 현대인의 초상

예술에 대한 정의가 분분하지만 그중 결정적인 경우로 치자면, 예술은 이야기의 기술일 수 있다. 저마다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저만의 형식을 빌려 이야기하는 것인데, 그 이야기의 세목은 다르지만, 대개 삶을 이야기하는 형식 그러므로 삶의 서사이기 쉽다. 삶을 되비치는 거울이라고 해야 할까(반영이론). 그렇게 이야기하는 형식이 다르고 세목이 다르지만, 그 와중에서도 일정한 유형화는 가능할 수 있다. 그 전형적인 경우로 치자면, 나는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고 있고 어디에 있는지와 같은 존재의 유래를 묻는 존재론적 서사가 있을 수 있고, 자기 정체성을 찾아 길을 나서는 와중에 장애물에 맞닥트리기도 하고 예기치 못한 조력자를 만나기도 하는 성장 서사가 있을 수 있다.

그렇게 작가는 동화적 상상력, 초현실적 상상력을 매개로 물속과 물 밖의 경계가 허물어지는(그 자체 아와 타, 주체와 타자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계기를 예비하고 있다고 해도 좋을), 탈경계 속에서 물고기와 사람이 어우러지는, 물고기의 삶이 사람 사는 세상을 증언하는 또 다른 세상을 열어놓고 있었다.

- 고충환(Kho Chunghwan 미술평론)

 

수호갤러리는 예술은 단순한 미적 경험을 넘어, 삶과 사회를 성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번 전시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관계와 소통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또한, 2025년 대주제 예술적 담론을 통해 우리의 삶의 터전인 환경을 보호하고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는 시간의 일환으로, 이번 전시가 자연과 인간, 그리고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를 탐구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수호갤러리는 지난 16년간 신진 작가 발굴 및 지원을 위한 공모전을 진행하며 역량 있는 작가들에게 전시 기회를 제공해왔다. 또한, 문화 나눔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와 예술을 연결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가고 있다. 유혜리 개인전 <우리들의 초상화>는 오는 318일까지 수호갤러리에서 진행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내외 12명의 현대미술 작가 재조명…수호갤러리 특별전 <절제, 연대 – 삶의 서사>

- 국내외 유명 작가, 주목해야 할 K-아티스트한자리에 모이다

- 한국 현대미술의 거장 김창열물방울, 회귀 등 연도별 다양한 작품 선보이다

- 동서양의 철학으로 절제와 치밀한 작품50여 점 출품

- 절제된 예술작품을 통해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은 사유 전달

전시명 수호특별전 Part.4 <절제, 연대 – 삶의 서사> 전시작가 Eva Armisen, Liz, 국대호, 김성호, 김정희, 김창열, 변용국, 신중태, 유혜리, 정성원, 하루.k, 한지영 전시기간 2024년 07월 29일(월) ~ 08월 16일(금) 관람시간 월-금 10:00~18:00, 토 예약제 (일요일 및 공휴일 휴관) 전시장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121, 더샵스타파크 G동 24호 수호갤러리 전시장르 회화

 

 

한국 현대미술 거장 김창열 화백부터 국내외 유명 작가 Eva Armisen, 국대호 그리고 현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정성원, 변용국, 하루.K, 김성호 등 12명의 역량 있는 K-아티스트들의 다채로운 작품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수호갤러리 특별전 Part.4 <절제, 연대 삶의 서사>20240729()부터 20240816()까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위치한 (네이버 본사 맞은편) 수호갤러리에서 열린다.

특히 이번 전시는 동서양의 다양한 예술 철학으로 치열한 작품 세계를 구축해가고 있는 현대미술 작가들을 시대적 담론을 담아 재조명하는 수호갤러리의 2024<절제, 연대 프로젝트>로 그 의미가 더욱 특별하다. 물방울 화가이자 현대미술의 거장 김창열(1929-2021) 화백의 물방울, 회귀 등 제작연도에 따른 시대별 다양한 표현을 구사한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며, 현재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K-아티스트들의 50여 점 정도의 작품들로 전시가 구성된다.

수호갤러리 이지수 관장은 전 세계적으로 기후 온난화와 전쟁 그리고 갈등이 거듭되는 현재, 여느 때보다 앞으로 다가올 삶의 회복과 위로가 중요한 시기이다. 인간의 삶 속에서 절제를 통해 삶의 본질에 대한 깊은 사유와 선한 연대의식을 체험하고, 인간성 회복과 행복으로 가는 여정이 되길 소망한다.”라고 전했다. 주목해야 할 K-아티스트들의 각자의 방법과 담론으로 풀어낸 예술 작품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수호갤러리 특별전 Part.4 <절제, 연대 삶의 서사>는 오는 816일까지 진행된다.

한편, 수호갤러리는 지난 16년 동안 매년 수호 아티스트 공모를 통해 열정적, 실험적인 시도를 하는 작가들을 선발하여 그들에게 다양한 전시 기회, 아트포럼, 멘토링을 제공해 주며, 역량 있는 작가들의 통로가 되기 위해 노력해왔다. 또한, 지역 주민과 청소년 및 장애인 대상 프로그램으로 꾸준히 문화 나눔을 진행해오고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