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산문화회관(대표이사 차재근)은 부산시립예술단 6개 단체의 역량을 모은 융복합 콘텐츠 부산시립예술단 연합공연 <바리데기>를 오는 522()부터 24()까지 3일간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크리스마스 캐롤>. <가마>에 이은 부산시립예술단이 창작 콘텐츠 브랜드화를 목표로 기획한 대형 프로젝트다. 6개 단체(국악단, 합창단, 무용단, 극단, 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교향악단)가 가진 고유의 예술적 역량이 하나의 작품 안에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지역 공공예술의 정수와 창의성이 어우러진 융복합형 공연 콘텐츠로 탄생하였다.

<바리데기>는 우리나라 대표 무속 설화 바리공주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창작 무대다. 기존 설화가 저승을 여행하는 효심의 여정을 다루었다면, 이번 작품은 지옥보다 더 지옥 같은 현대사회를 배경으로 한다. 버려진 아이 바리는 자신의 고통을 통해 타인의 상처를 보듬고, 자신의 몸을 내어주며 그들을 구한다. ()를 실천하기 위한 의무적 행위보다는, 버림받은 존재로서의 내면 결핍을 어떻게 치유하고 극복해 가는가에 초점을 맞춰 감동적인 서사를 풀어낸다.

200여 명에 달하는 출연진이 참여하여, 현대인의 고통과 상처, 회복과 치유의 메시지를 음악, 무용, 영상, 연극을 통해 입체적으로 풀어낸다. 이는 단순한 예술 감상이 아닌 치유와 공감의 무대로,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할 것이다.

대본 및 작사, 연출은 부산시립극단 김지용 예술감독, 작곡은 김창환(강원도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지휘는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이동훈 예술감독, 안무는 부산시립무용단 이정윤 예술감독이 맡아 다양한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현재 공연은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 (www.bscc.or.kr)에서 예매 중이며. 입장료는 R3만 원, S2만 원, A1만 원에 판매하고 있다. 공연 문의는 부산문화회관 고객센터 051)607-6000으로 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지역 학생들의 다양한 문화 예술체험을 위해 부산시립예술단이 진행하는 예술교육공연 꿈꾸는 예술학교2025년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학생들과의 만남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 2020,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 추진한 학생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계기로 시작된 꿈꾸는 예술학교는 그동안 공연장, 학교 등에서 총 500여회의 공연을 진행하며 부산지역 청소년들에게 공연의 감동과 재미를 선사한 바 있다. 올해는 교향악단, 합창단, 국악관현악단, 극단, 청소년교향악단 등 부산시립예술단 5개 단체가 참여하며, 10개의 공연 프로그램이 학교 수업시간과 연계하여 평일 오전 40여회 진행된다.

올해 공연의 첫 무대는 꿈꾸는 예술학교가 오페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오페라 교육프로그램이다. 지난해 선보인 토크오페라 마술피리의 새로운 버전으로 로봇과 영상이 성악가들의 라이브 무대와 어우러지는 로봇과 함께 하는 오페라 북 콘서트-마술피리무대로, 공연은 429일과 30일 시민회관 소극장에서 만날 수 있다.

신작 토크오페라 헨젤과 그레텔73일과 4일 부산시민회관에서 펼쳐진다. 그림형제 동화를 원작으로 훔퍼딩크가 작곡한 가족 오페라 헨젤과 그레텔은 헨젤과 그레텔이 숲속에서 겪는 여러가지 우여곡절과 신비롭고 환상적인 이야기, 그리고 그 과정을 슬기롭게 헤쳐 나가는 이야기들을 무대 위에서 실감나게 펼친다. 이번 신작에는 백승현 지휘자가 지휘하는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의 라이브 연주, 연출가 이의주의 재미있는 해설과 감각적인 무대와 함께,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부산지역 성악가들이 출연한다. 특히 올해는 예약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합창 교육을 시켜 오페라 작품에 직접 참여하게 하고 화려한 영상, 청소년들을 위한 쉽고 재미있는 자막, 분장 체험으로 특별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부산시립합창단의 교실 밖 합창여행10월과 11월 교과서 수록곡, 오페라와 뮤지컬, 가요, 가곡 등 다양한 곡들을 합창, 중창, 독창으로 들려준다.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지그재그 음악놀이는 귀에 익은 동요와 마술, 영상이 함께하는 신나는 음악놀이 프로그램으로, 학교 요청시 맞춤형으로 수시 진행된다.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의 재밌는 국악 신나는 국악은 국악 실내악, 악기별 중주곡, 로비 국악기 체험 등을 통해 국악의 매력을 선사한다. 지난해 영도와 국악기를 스토리텔링한 영도 할매 마리오네트 인형과 함께 떠나는 영도의 국악사계를 선보인 바 있는 국악관현악단은 올해 큰별쌤 최태성과 함께 역사 속 국악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 7월 부산 지역 청소년들과 만난다.

부산시립극단은 6, 동화 신데렐라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유쾌한 뮤지컬 형식으로 풀어낸 신데렐라:너의 뜻대로 해라로 어린이 관객과의 만남을 준비하고 있다.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은 재밌는 클래식 맛있는 클래식으로 클래식 명곡과 다양한 레퍼토리를 통해 오케스트라의 풍성한 하모니와 울림을 전할 예정이다.

5월 가정의 달에는 부산문화회관에서 부산시립합창단의 어린이뮤지컬 피노키오와 파란 마녀’(52)와 부산시립교향악단의 우리 아이 음악회’(59)가 준비되어 있다.

부산시립예술단의 꿈꾸는 예술학교는 부산문화회관, 부산시민회관 등에서 진행되며, 공연은 부산시립예술단 공연사업팀 전화 예약(051-607-3111, 3113~4)을 통해 접수 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시립합창단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시립국악관현악단 UAE 두바이 공연
▣ 부산문화회관 & 카자흐스탄 국립고려극장 문화․예술분야 협력을 위한 MOU도 체결


부산시립합창단과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이 오는 920일부터 102일까지 유라시아 3개국 4개 도시에서 열리는 ‘2024 유라시아 도시외교단행사에 부산을 대표하는 문화사절단으로 해외공연 길에 오른다.

부산시와 부산글로벌도시재단이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의 브랜드 제고 및 자매우호협력 도시 교류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2024년 유라시아 도시외교단은 오는 20일 출정식을 시작으로 13일간 유라시아 지역에 부산을 알릴 예정이다. 올해는 카자흐스탄-알마티, 우즈베키스탄-타슈켄트·사마르칸트, UAE-두바이 3개국, 4개 자매·우호 협력도시에서 공연 및 교류 활동이 펼쳐진다.

지난해는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이 부산-알마티 우호협력도시 체결 1주년을 기념해 알마티의 민속악단 사즈겐 사지(SazgenSazy)’와 합동공연을 가진 데 이어 올해는 922일 부산시립극단과 카자흐스탄 국립아카데미 고려극장의 교류를 위한 부산문화회관, 카자흐스탄 고려극장 MOU 체결을 시작으로 합창단과 국악관현악단의 공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카자흐스탄 국립아카데미 고려극장은 1932년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 설립된 민족극장으로 한반도 외 활동하는 유일한 국립 극장일 뿐만 아니라 세계 최초의 국립 전문 한인극장이다. 1937년 고려인 동포들의 이주로 극장이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로 이전한 바 있고, 1968년 알마티로 이전했다. 현재는 5세대 예술가와 배우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사물놀이전통악기단, 민속 무용단, 극장의 기본인 연극단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부산시립극단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2025년 고려극장과 상호 교류를 구상하고 있다.

알마티에서의 MOU 체결에 이어 부산시립합창단은 926일 사마르칸트주립음악드라마극장에서 부산과 사마르칸트 우호협력 도시 체결 1주년 기념공연을 펼친다. 부산시립합창단은 이기선 예술감독을 비롯한 28명의 공연단이 우즈베키스탄 교민, 현지인, 고려인들을 위해 우리 가곡과 오페라 아리아와 K-pop 무대, 우즈베키스탄인 음악을 선곡, 부산을 알리는 특별한 무대를 선사할 계획이다. 또한 부산시립합창단은 K-컬쳐의 높아진 위상으로 사마르칸트 공연에 이어 우즈베키스탄 3대 도시인 부하라의 부하라국립대학 초청으로 한차례 더 공연을 가질 계획이다.

지난해 알마티 공연을 통해 중앙아시아에 우리 문화를 소개한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은 929Dubai Festival City Mal에서 열리는 부산페스타 in 두바이에서 설장구 협주곡, ‘국악기로 연주하는 아랍 음악 & K-Pop’, 국악실내악 신 뱃놀이등 신명이 넘치는 다양한 무대를 준비하고 있다.

시립예술단과 함께 참가하는 ()부산문화회관 차재근 대표이사(겸 부산시립예술단 부단장)고려인들이 뿌리를 내리고 있는 중앙아시아는 한국의 문화, 영화, 음식 등 다양한 분야가 인기를 모으고 있는 만큼 우리 문화에 대한 갈증을 풀어주고 감동을 줄 수 있는 무대를 선사하고, 부산의 자매도시이자 세계적인 금융·관광 허브도시인 두바이에서 부산 국악공연의 정수를 보여주고 오겠다며 각오를 밝혔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