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무용가로서 나아가는 춤의 길에 자신의 춤을 세우다

2024.12.13.(금)~14(토) 평일 19:30/토요일 15:00,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부산시립무용단(예술감독 이정윤)은 특별공연으로 <홀춤 : 디딤&STEP>1213()일부터 14()까지 양일간 부산문화회관 중극장에서 선보인다.

<홀춤 : 디딤&STEP>은 올해 세 번째 공연으로, 무용가로서 나아가는 춤의 길에 자신만의 춤을 세우고 그곳으로 묵묵히 정진해나가는 것을 의미하고 추구하는 특별공연이다. 무용단 단원들이 직접 탐구하여 춤을 짓고 생각을 입혀 무대화하는 과정에 의미를 두었다. 또한 자신의 이름을 정리하고 내세우고 남겨서 대체 불가한 자신만의 무용과 무용가가 되길 바라는 마음을 담은 공연이다. 이번 공연은 단원 10명의 창작무대로 구성되며, 시립무용단 이정윤 예술감독의 해설과 함께 진행된다.

13() 첫 날 첫 무대로 한국 창작무용 배정혜 선생의 풍류장고(하현정)’에서 영감을 받아 자신만의 풍류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춤으로 풀어낸다. 이어 문득 펼친 책 속의 꽃 향기를 쫓아 노니는 모습의무영화첩(김주연)’, 손을 모아 치성을 드리는 의식에서 비롯된비손(김미란)’이 진행된다. ‘걸북(김진영)’은 가락이 많아 춤보다는 놀이에 가까운 양태옥류 북놀이를 변용하여 영남지역의 특색인 덧배기와 화려한 춤사위를 가미하였다. 마지막 순서로 한국춤 사랑가에 영감을 얻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그리움과 애달픔을 딛고 홀로 나아가는 모습을 그린 (임선영)’로 마무리 된다.

김주연
하현정
김진영
임선영
김미란

14() 공연에는 흥타(최윤정)’라는 작품으로 내 마음속 울림을 찾아 한 장단, 한 걸음 흥을 쌓아올리며 막을 올린다. 다음으로수향(김도은)’무대에서는 삶이 춤으로 피어나는 길을 따라 나아가는 모습을 그려내고, 이매방류 살풀이춤의 힘차고 동적인 움직임을 정적인 움직임과 단아한 몸짓으로 새롭게 해석한 본살풀이(김주연)’를 보여준다. 때로는 담담하고 때로는 신명나는 있는 그대로의 날 것의 나를 보여주는 동래소고춤(곽미소)’와 이어지는 마지막 무대로 얼어붙은 땅에 생명력을 불어넣을 따스한 선혈의 기운을 표현한 사지푸리(류가빈)’가 진행된다.

김주연
류가빈
최윤정
김도은
곽미소

 

이번 특별공연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관람 가능하며, 전석 2만원에 판매되고 있다. 예매는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www.bscc.or.kr) 및 전화(051-607-6000)로 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시립무용단 제89회 정기공연
빙 빙 (being being)
연출․안무/ 이정윤, 음악감독/ 손성제
5.17.(금)19:30 / 5.18(토)15:00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부산시립무용단 제89회 정기공연 <빙빙 being-being>이 오는 517()부터 518() 이틀간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지난 2023, 부산시립무용단의 창단 50주년을 기념하는 <The 50th, Time to Dance> 를 주제로 시즌 공연과 기념사업으로 무용단의 유산적 가치를 조명하였다면, 미래의 첫걸음을 시작하는 올해는 앞으로 다가올 또 다른 반세기를 위한 첫걸음을 시작하는 해이며 그 첫 무대이다.

이번 정기공연은 2024년 무용단 시즌 공연의 기조인 <춤으로 상생, 그리고 Human Dance>를 주제로 열어가는 첫 작품으로 무대에 올린다. 새로운 시대, 다양한 문화와의 조화가 요구되는 시대에 소통과 상생을 주제로 하는 작품들과 기획공연을 통하여 인간성 회복과 자기 주도적인 오늘날의 일상을 위한 각성제와 같은 힘으로 작용하길 바라는 마음을 담은 신작이다.

<빙빙 being-being> ‘춤과 사람, 삶의 무용을 주제로 풀어내는 신작으로 제목에서 느껴지듯이 빙빙이 가지는 중의적 의미와 함께 우리를 맴도는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이다.

89회 정기공연에서는 빙(being1), (being2) 두 개의 작품으로 무대를 구성하는데 1’에서는 순환, 시작과 끝, 그리고 삶의 균형에 대한 이야기로 삶의 연속성과 무한함을 민속무용 강강술래를 배경으로 원(원형)에 대한 이미지를 사회적 교류와 소통으로 무용적 해석을 하는 삶에 대한 예찬으로 그린다.

2’에서는 장부들의 삶. 온전한 쉼에 대한 이야기로 집에서 집으로, 길을 나선 걸음에 위로와 격려가 되는 약속의 길과 그리움의 길.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남성들의 삶과 어딘가로 부터 떠나온 자들의 숙명과 돌아갈 곳에 대한 동경을 그려낸다.

각 파트의 시공간을 구분하여 해석하는 무대와 미장센, 영상 아트웍, 음악은 손성제 뮤지션의 국악적 해석으로 접근하는 월드뮤직을 작품 음악으로 사용하며, 두 작품의 교차점에 무용가 이정윤(시간여행자)이 주제를 관통하는 역할을 한다.

2020년 부산시립무용단의 11대 예술감독으로 재임하면서 현재까지 다양한 주제와 우리 문화예술의 정서와 더불어 창의적 요소가 돋보이는 국제적 감각이 뛰어난 한국 창작 춤의 무대화에 기여해 왔다.

특히 이번 공연에는 국립무용단의 스타 수석무용수였던 이정윤 예술감독이 직접 출연한다. 무용단의 수석무용수인 강모세 단원과 부수석 무용수인 김미란 단원이 조안무로 참여, 무용단원들의 작품연습과 훈련에 함께 하고 있다.

이정윤 예술감독은 이번 공연을 준비하면서 초심의 마음과 더욱 깊어진 걸음으로 또 다른 춤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문화예술사업과 공연으로 새로운 해를 더욱 의미 있게 채워 나가려 한다라고 밝혔다.

<빙빙 being-being>멈춤의 날(Dream 0)’에 나를 보고, 우리를 보고, 다시 나아갈 세상을 바라보는 에너지와 움직임의 형태를 의미한다고 한다. 이번 공연과 함께 더 단단히 나아가는 부산시립무용단의 2024년 남은 공연들은 또 어떠한 주제로 관객과 만나게 될지 기대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