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파리 오케스트라 수석이자 파리국립고등음악원 교수인 파스칼 모라게스 국내 첫 협연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1212() 경기아트센터 대극장, 1213()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경기필 마스터즈 시리즈 V 버르토크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을 공연한다.

이번 공연에서는 김선욱 예술감독의 지휘로 진은숙 수비토 콘 포르차(Subito con forza),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K.622, 버르토크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작품116을 연주한다.



김선욱 지휘자는 이번 공연은 어떤 상황을 극복하거나 한계를 넘어서는 초월을 주제로 구성했다. 같은 클래식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고전과 구분이 명확하게 나뉘어 버린 현대음악, 작곡가 진은숙은 본래 그것이 하나의 흐름이었음을 보여주고자 위대한 고전을 상징하는 베토벤을 주재료로 시대의 초월을 시도한다. 이어지는 두 곡 역시 교향곡과 협주곡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작품이다. 당시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클라리넷의 등장에 매력을 느끼고 생의 마지막 협주곡을 작곡한 모차르트, 그리고 타지에서 생활하며 몸이 쇠하고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힘든 시기를 보내던 버르토크가 역경을 이겨내고 작곡해 더 높은 경지에 이른 작품으로 마지막을 장식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첫 곡은 진은숙이 2020년 베토벤 탄생 250주년 기념으로 작곡한 수비토 콘 포르차. 진은숙과 김선욱은 인연이 깊다. 김선욱은 피아니스트로 진은숙의 피아노 협주곡을 베를린필과 협연했으며 정명훈 지휘로 서울시향과 음반을 발매하기도 했다.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은 1791년 모차르트가 세상을 떠나기 두 달 전에 작곡한 그의 마지막 협주곡으로 파리 오케스트라의 수석이자 파리국립고등음악원 교수인 파스칼 모라게스가 협연한다. 파스칼 모라게스의 국내 첫 협연이라 더욱 기대를 모은다.



버르토크의 마지막 관현악 작품인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은 현대성과 민속성을 결합한 20세기 최고의 클래식 음악 작품 중 하나다. 스트라빈스키 봄의 제전과 함께 20세기의 고전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오케스트라 각 악기군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작품으로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협연자로 나서는 셈이다. 오케스트라의 기능미를 탐구하기에 최적의 곡이다. 1악장의 엄숙함과 3악장의 죽음을 애도하는 노래에서, 끝악장의 삶의 긍정으로 옮겨 가는 점진적인 변화가 특징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푸치니 서거 100주년 기념 오페라 「라 보엠」

오는 1130~121일 경기아트센터에서 선보여

서선영, 황수미 등 세계 3대 콩쿠르 우승자 대거 출연

푸치니 서거 100주년을 기념하여 경기아트센터(사장 서춘기)는 오는 1130()부터 121() 오후 15시 오페라 <라 보엠>을 경기아트센터 대극장 무대에 올린다.

이탈리아 오페라의 거장 푸치니의 라 보엠은 젊은 시절 예술가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며 보엠(인습에 구속받지 않는 자유로운 젊은이) 그 자체였던 푸치니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젊은 예술가들의 사랑과 낭만을 생생히 묘사한다. 19세기 프랑스 파리 라탱지구 크리스마스이브를 배경으로, 주인공 로돌포미미의 순수한 사랑이야기를 통해 청춘의 고통과 낭만을 그려낸다. 오페라 팬들에게 익숙한 명곡 '그대의 찬 손''내 이름은 미미', 오페라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이중창으로 평가받는 '! 사랑스러운 아가씨' 등 대표 아리아들을 들을 수 있다.

경기아트센터와 서울시오페라단이 함께하는 이번 공연은 박혜진 예술감독과 김덕기 지휘, 엄숙정의 연출로 화려한 캐스팅과 더불어 독창적인 미장센을 선보인다.

특히 이번 공연은 한국 오페라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두 성악가 서선영, 황수미가 한 작품에 캐스팅되어 화제를 모은다. 미미역에 차이콥스키 콩쿠르 우승자 서선영과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자 황수미가 등장하며, 로돌포 역에는 시즈오카 국제 콩쿠르 우승 등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으며 활동 중인 문세훈과 영국 런던 로열 오페라 하우스의 라 보엠에서 로돌포 역을 맡아 관중들을 사로잡았던 김정훈이 출연한다. 여기에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연주로 푸치니의 선율을 전한다.

공연 관계자는 이번 공연이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과 여운을 남기기를 기대한다라며, ‘광역 공공예술기관으로서 앞으로도 순수예술의 문화적 가치를 보전하고 더 다양한 장르의 우수 공연들을 기획해 예술적 경험을 확대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공연은 경기아트센터 홈페이지(ggac.or.kr) 및 인터파크티켓(ticket.interpark.com)에서 예매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김선욱 지휘자의 첫 말러 교향곡 1번 연주
몬트리올 국제 콩쿠르 우승, 차이콥스키 콩쿠르 준우승
바이올리니스트 마크 부쉬코프의 첫 내한 공연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523() 경기아트센터 대극장, 524() 롯데콘서트홀에서 경기필 마스터즈 시리즈 II 말러 교향곡 1을 공연한다. 이번 공연에서는 김선욱 예술감독의 지휘로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말러 교향곡 1거인을 연주한다.

김선욱 지휘자는 말러 교향곡 1번은 제가 어릴 때 지휘자를 꿈꾸며 스코어를 보고 피아노로 치던 곡입니다. 오랫동안 바라왔던 이 실현되는 순간이자 동시에 말러의 음악 세계로 들어가기 위한 첫 관문이기도 합니다.”고 말했다.

김선욱 지휘자가 말러 교향곡 1번을 연주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말러는 29살에 작곡한 1번 교향곡은 다른 말러 교향곡들의 가장 기본이자 토대가 되는 작품이다. 그의 다른 교향곡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곡이라, ‘말러 입문용으로 인기가 많은 편이지만 말러의 교향곡 중에 1번이 가장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가장 어려운 문제부터 푼다는 김선욱은 마스터즈 시리즈I에서 베토벤 교향곡 중 가장 어려운 3번을 연주했고, ‘마스터즈 시리즈 II’에서도 말러 교향곡 중 가장 어려운 1번을 골랐다.


한편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은 몬트리올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고 차이콥스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준우승한 마크 부쉬코프가 협연한다. 바이올리니스트를 꿈꿨던 시벨리우스의 유일한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현악기의 고음 처리, 팀파니의 잦은 사용, 격렬한 음향 등 시벨리우스 음악의 바탕을 이루는 요소들이 작품 곳곳에서 드러난다.

■  프로그램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 작품47

J. Sibelius, Violin Concerto in d minor, Op.47

 

말러 교향곡 1D장조 거인
G. Mahler, Symphony No.1 D Major ‘Titan‘

 

■ 프로필

 

지휘 김선욱

 

1988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선욱은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하고 영국 왕립음악원 지휘 석사과정(MA)을 마친 후 2019, 영국 왕립음악원 회원(FRAM)이 되었다. 2004년 독일 에틀링겐 국제피아노콩쿠르, 2005년 스위스 클라라 하스킬 국제피아노콩쿠르에서 1위에 올랐으며, 2006년 리즈 콩쿠르 우승자로 국제무대에 이름을 알렸다. 2013년에는 독일 본에 위치한 베토벤 생가베토벤 하우스멘토링 프로그램 첫 수혜자로 선정되었다.

김선욱은 200618세의 나이로 리즈 콩쿠르 40년 역사상 최연소 우승자이자 첫 아시아 출신 우승자라는 기록을 남겼다. 동 세대 연주자 중 두드러지는 행보를 보여주고 있는 그는 베를린 필하모닉, 런던 심포니, 로열콘세르트허바우 오케스트라,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시카고 심포니, LA 필하모닉, 미네소타 오케스트라, 베를린 방송교향악단, NDR 엘프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도이치캄머 필하모닉, 핀란드 방송교향악단,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런던필하모닉, 로열 스코티쉬 내셔널오케스트라, BBC 웨일스 내셔널오케스트라,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NHK 심포니, 할레 오케스트라, 버밍엄 심포니 등 세계 주요 오케스트라의 정기연주회 협연자로 꾸준히 초청받고 있으며, 2014년에는 본머스 심포니 협연으로 BBC 프롬스에 데뷔하였다.

지난 2021, 지휘자로서 KBS교향악단과 성공적으로 데뷔한 그는 2023년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레퍼토리 시즌 차이콥스키 교향곡 6과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포디움에 오르며 언론과 관객으로부터 젊은 거장으로 높이 평가받은 바 있다. 서울시립교향악단과도 대한민국 광복 77주년 기념음악회’, ‘베토벤 합창교향곡’, ‘김선욱의 모차르트와 슈트라우스에서 지휘봉을 잡으며 완성도 높은 음악으로 관객들에게 호평받았다. 또한, 영국 본머스 심포니의 지휘자로 드보르자크 첼로 협주곡과 브람스 교향곡 2번을 연주하였으며, 20241월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예술감독 취임 연주 이후 프란츠 리스트 체임버 오케스트라, 제오르제 에네스쿠 필하모닉을 지휘했으며, 폴란드 슬라스카 필하모니아 지휘도 예정되어 있다.

현재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예술감독으로 경기필을 이끌고 있으며, 2024마스터즈 시리즈를 통하여 그의 야심찬 레퍼토리를 국내 팬들과 일반 관객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바이올린 마크 부쉬코프 Marc Bouchkov

 

흠잡을 데 없는 섬세한 연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혈통의 벨기에 바이올리니스트인 마크 부쉬코프는 마리스 얀손스 지휘하는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 필리프 조르당이 지휘하는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크리스토프 에센바흐가 지휘하는 프랑크푸르트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로렌조 비오티가 지휘하는 라 스칼라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발레리 게르기예프가 지휘하는 마린스키 극장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과 공연했다.

위그모어 홀, 카네기 홀, 암스테르담의 콘세르트헤바우, 스칼라 극장, 엘브필하모니 함부르크, 드레스덴 프라우엔키르체, 상트페테르부르크 콘서트홀, 톤할레 취리히, 뮌헨의 프린츠레겐트 극장, 파리의 빌레 극장, 메종 드 라디오 프랑스, 그리고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등 세계 주요 공연장에서 공연했다. 또한 실내악 연주도 활발히 하고 있어서 스위스 베르비에 페스티벌에서 지속적으로 초청받고 있다.

몬트리올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우승, 차이코프스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준우승, 런던 음악 거장 상 등을 받았다.

바쉬코프는 현재 벨기에 리에주 왕립 콘서바토리와 리히텐슈타인 국제 음악 아카데미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