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산시립교향악단(예술감독 홍석원)이 제622회 정기연주회 여름, 목가710() 저녁 730분 부산콘서트홀에서 개최한다. 이번 연주회에서는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중 가장 시적이고 서정적인 피아노 협주곡 제4번과 함께, 브람스의 따뜻하고 목가적인 정서가 깃든 교향곡 제2번을 연주한다.

이번 무대는 지난 5월 콘서트홀에서 열린 제620회 정기연주회에 이어 다시 찾는 자리로, 새로운 연주 환경 속에서도 흔들림 없는 음악성을 선보일 부산시립교향악단의 저력을 기대할 수 있다.

이번에 연주될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제4번은 고전적 협주곡 형식을 과감히 벗어나 그의 실험정신과 감성이 정교하게 드러나는 작품이다. 특히, 2악장에서는 현악기와 피아노가 대화하듯 주고받으며 내면의 긴장과 고독이 섬세하게 표현된다. 브람스 교향곡 제2번은 오스트리아 푀르차하의 여름 풍경 속에서 완성된 곡으로, 평화로운 분위기 속에 브람스 특유의 어두운 정서가 함께 어우러진다. 시립교향악단은 이번 여름, 목가무대를 통해 두 작곡가의 작품 속에 담긴 인간의 깊은 내면을 함께 조명하며 진한 감동을 전할 예정이다.

2024년 하반기에 부산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으로 취임한 지휘자 홍석원은 서울대학교, 베를린 국립음대에서 최고 연주자 과정을 마쳤다. 독일음악협회가 선정하는 미래의 마에스트로로 주목받은 그는 카라얀 탄생100주년 기념 지휘 콩쿠르에서 3위로 입상하고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티롤 주립극장의 수석 카펠 마이스터로 활발히 활약했다. 국내에서는 국립오페라단과 함께 오페라 <마농>, <나부코>, <시칠리아 섬의 저녁 기도>등 굵직한 오페라 프로덕션을 이끌었고, 광주시립교향악단의 예술감독으로 활동하면서 피아니스트 임윤찬과 함께 베토벤, 윤이상, 바버음반을 그라모폰 레이블로 발매했다. 전통적인 관현악 레퍼토리는 물론 오페라와 발레, 현대음악 모두 아우르며 한국 음악계를 이끄는 지휘자로 자리매김한 지휘자 홍석원은 젊은 명장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피아니스트 폴 루이스는 깊이 있는 해석과 명료한 연주로 세계적인 찬사를 받고 있는 권위자다. 베를린 필하모닉, 뉴욕 필하모닉, 로열 콘체르트허바우 등 세계 정상급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해왔다. 베토벤에 대한 자연스러운 공감대를 지닌 폴 루이스는 BBC3부작 다큐멘터리 빙 베토벤(Being Beethoven)’에 출연했으며, 2010BBC 프롬스에서 한 시즌 내 베토벤 협주곡 전곡을 완주한 최초의 피아니스트로 기록되었다. 최근에는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시리즈와 현대 작곡가 토마스 라처의 신작 초연까지 이어가며, 고전과 현대를 아우르는 폭넓은 음악 여정을 이어가고 있다.

예매는 부산콘서트홀 홈페이지(classicbusan.busan.go.kr)에서 가능하며, 입장권은 1만원~3만원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시립교향악단(예술감독 홍석원)이 제620회 정기연주회 <뉴 월드(NEW WORLD)>를 오는 523() 부산콘서트홀에서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부산콘서트홀 개관을 앞두고 진행되는 시범 공연으로, 전석 무료 제공과 함께 큰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개관 전 시범 공연임에도 불구하고 티켓은 오픈 1분 만에 전석 매진을 기록, 부산 시민들의 뜨거운 기대를 증명했다.

부산콘서트홀은 비수도권 최초의 클래식 전용 홀로 클래식 음악 공연에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예술적 완성도를 높이는 이 특별한 공간에서 부산시립교향악단은 모차르트의 교향곡 제41주피터와 드보르자크의 교향곡 제9신세계로부터를 연주하며 관객을 맞이한다.

모차르트의 교향곡 주피터는 그가 창조한 교향곡 장르의 정점으로, 웅장하고도 균형 잡힌 구조와 기품 있는 표현, 그리고 대위법을 통한 지적인 매력을 지닌 작품이다. 이 곡은 새로운 공연 공간인 부산콘서트홀의 탁월한 음향 시스템 속에서 그 깊이와 섬세함이 한층 더 돋보일 것이다.

반면, 드보르자크의 신세계로부터는 미국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대서양을 건너가 접한 뉴욕의 활기와 대자연에 대한 경외심, 그리고 고향 보헤미아에 대한 그리움을 담아낸 작품으로, 부산콘서트홀의 공간적 특징과 맞물려 그 웅장한 서사와 감동이 더욱 크게 울려 퍼질 것이다. 두 작품은 부산콘서트홀이라는 새로운 클래식 음악의 중심지에서, 관객들에게 한 차원 높은 음악적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부산시립교향악단의 예술감독인 홍석원 지휘자는 서울대학교와 베를린 국립음대를 졸업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미래의 마에스트로로서 뛰어난 지휘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는 카라얀 탄생 100주년 기념 지휘 콩쿠르 3위 입상, 광주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었고, 한국 음악계를 이끄는 젊은 명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4년 부산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으로 취임하여, 클래식 음악 중심도시라는 부산의 새로운 위상에 걸맞게 부산시립교향악단을 최고의 예술단체로 이끌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이번 공연은 부산콘서트홀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기념비적인 공연으로, 비수도권 클래식 음악의 중심지로서 부산의 가능성을 한층 더 부각시킬 예정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