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은 올봄 멘델스존을 시작으로 생상을 거쳐 베토벤의 음악으로 오는 1129()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제75회 정기연주회 <베토벤>을 진행한다. ‘프로메테우스의 창조물 서곡을 시작으로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의 세 협연자와 함께하는 삼중협주곡’, 그리고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베토벤의 교향곡 5까지 그가 창조해낸 불후의 명곡들을 연주하게 된다.

프로메테우스의 신성과 사람들의 기쁨을 훌륭하게 묘사한프로메테우스의 창조물은 베토벤이 그의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이다. 1800, 프로메테우스의 이야기를 주제로 한 발레곡을 의뢰받아 작곡한 이 작품은 그에게 극장 음악을 경험하게 하였고, 프로메테우스라는 존재에 대한 강한 인식을 심어주었다. 베토벤은 프로메테우스에게서 영웅의 모습을 보았고, 이 작품에 썼던 영웅주제를 교향곡 3번과 에로이카 변주곡에서 인용했다고 한다. 열여섯 개의 개별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서곡만 단독으로 연주되는 경우가 많다.

두 번째 무대는 베토벤의 다른 협주곡보다 덜 주목받는 삼중협주곡으로, 트리오 콘 스피리토의 정진희(바이올린), 정광준(첼로), 진영선(피아노) 세 사람의 협연과 함께 진행된다. 19세기 내내 협주곡은 대부분 한 대의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 편성으로 만들어졌지만, 예외적인 작품이 베토벤의 삼중협주곡과 브람스의 이중협주곡이다. 이번 협주곡은 베토벤의 중기 시대로 접어든 시점이고, 그의 작품의 양상과는 다른 매우 밝고 가벼운 작품이다. ‘편안하게 산책하는 듯한 작품으로, 청중을 뒤흔들기보다는 즐겁게 해주려는 작품이다라는 평을 받고 있다.

트리오 콘 스피리토

마지막 무대는 교향곡 5으로 진행된다. 그가 쓴 아홉 개의 교향곡은 각각 커다란 음악적 가치를 가지고 있고, 19세기 거의 모든 작곡가에게 교향곡이 나아갈 길을 제시했다는 절대적 위상을 지니고 있다. 이 교향곡 5번은 슈만이 자연현상처럼 아무리 많이 들어도 듣는 이를 압도한다라고 표현할 정도로 듣는 이의 마음을 흔드는 힘을 지니고 있고, 저 유명한 첫 주제부터 피날레까지 장대한 건축물과도 같은 느낌을 준다. 5번 교향곡은 4번 교향곡을 헌정 받은 오페르스도르프 백작이 의뢰한 작품으로, 그가 교향곡에서 쓰지 않았던 피콜로와 트롬본을 추가한 것이 특징이다. 1악장에서 작곡가가 운명이 문을 두드린다라고 했다는 주제로 시작해 3악장 후반 현악 파트 연주 끝에 팀파니가 긴장감을 쌓아올린 후, 힘차게 위로 치솟는 주제와 함께 4악장이 펼쳐지며 힘찬 기세로 마무리한다.

영혼을 담은열정적인 음악과 견고한 연주력, 긴밀한 호흡을 자랑하는 협연팀 트리오 콘 스피리토는 올해로 창단 16주년을 맞이하였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음악대학 최초로 실내악 최고연주자과정에 입학하여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하였는데, 이는 독일에서 한국 국적의 앙상블 단체가 받은 첫 번째 최고과정 학위이다. 2009년 스페인 바르셀로나 마리아 카날스(Maria Canals) 국제음악콩쿠르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면서 국제무대에 두각을 나타내었고, 이후 다수의 국제 콩쿠르에서 수상하며 많은 부분에서 한국인 최초의 타이틀과 함께 그 입지를 단단히 하였다. 유럽의 유서 깊은 음악제에 초청되어 완성도 높은 연주로 관객과 언론의 호평을 받았고, 수많은 음악가들과 교류와 공동작업을 통해 음악적 깊이를 더하였다. 2014년 리사이틀을 시작으로 한국 관객과 만나기 시작했고, 수많은 국내외 무대에서 관객과의 활발한 만남을 이어가면서 깊은 공감과 감동을 이끌어 내었다. 세 사람의 연주자가 멤버 교체 없이 한 팀으로 활동하며 아름다운 화합을 보여주고 있다.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은 1994년 창단해 올해로 창단 30주년을 맞고 있으며, 부산지역의 젊은 음악인들에게 다양한 연주활동과 교육 등을 통해 부산 음악의 미래를 열어나가고 있다. 젊은 패기와 함께 단단한 기량을 다지기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은 정기연주회와 특별연주회, 찾아가는 연주회 등으로 부산 시민과 만나고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2024. 11. 26.(화) 19:30 부산문화회관 챔버홀 -

부산시립교향악단의 실내악시리즈Ⅴ 『줌인(Zoom-in)의 세 번째 무대가 오는 1126() 오후 730분 부산문화회관 챔버홀에서 진행된다.

이번 공연은 부산시립교향악단의 더블베이스 수석단원인 배기태와 섬세한 감성과 파워풀한 에너지를 동시에 지닌 피아니스트 문재원이 호흡을 맞춰 무대에 오른다.

현재 부산시립교향악단 수석단원으로 재직중인 더블베이시스트 배기태는 독일 자르브뤼켄 국립음대의 전문연주자 과정을 졸업했으며 뮌헨 국립음대 최고연주자 과정 졸업 및 실내악 최고연주자 과정을 수료했다. 이후 독일 홈부르크 심포니오케스트라, 조지아 체임버오케스트라 외 유수의 단체에서 수석 및 객원수석을 역임했으며 통영국제음악제, 평창대관령음악제, 파리 프레장스페스티벌 등 국내외의 무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계명대학교에 출강 중인 피아니스트 문재원은 독일에서 DAAD 장학금을 수여했으며 하노버 국립음대 전문연주자과정(Künstlerische Ausbildung) 및 최고연주자과정(Konzertexamen Soloklasse)을 졸업, 야마하 청소년 국제 피아노 콩쿠르, 델리아 스타인버그 국제 피아노 콩쿠르를 비롯한 다수의 피아노 콩쿠르에서 입상한 연주자이다. 이에 더해 문재원은 피아니스트 손열음과 함께 <Under the Sun> 듀오 음반을 발매했으며 김한, 함경, 손태진, 대니구 등을 포함한 타 음악가들과도 음반 작업을 활발하게 이어오고 있다. 그 외에도 MBC TV ‘TV예술무대’, KBS ‘열린음악회’, ‘불후의 명곡’, KBS 클래식FM 등 각종 방송 프로그램 등에 출연하며 활발하게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이번 공연에는 베토벤부터 마스네를 거쳐 쿠세비츠키, 글리에르에 더해 일본 태생의 현존 작곡가인 카와가미까지 고전에서 근현대에 이르는 다양한 더블베이스 작품들이 한 자리에서 연주된다. 특히, 바이올린을 위해 쓰여진 마스네의 <타이스의 명상곡>, 호른을 위해 쓰여진 베토벤의 소나타 등은 더블베이스만의 생소하지만 깊으면서도 넓은 스펙트럼의 매력으로 재탄생 되어 연주될 예정이다.

예매는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www.bscc.or.kr)에서 가능하며, 입장권은 전석 1만원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시립교향악단 제611회 정기연주회
‘ 하 지 축 제 ’
2024.6.21.(금)19:30,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부산시립교향악단의 제611회 정기연주회 하지축제가 오는 621() 오후 730,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펼쳐진다.

부산시립교향악단의 백승현 부지휘자(겸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 수석지휘자)가 지휘봉을 잡으며 우리 시대 최고의 젊은 기타리스트 중 한 명이자,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기타리스트 박규희가 부산시향과 첫 호흡을 맞춘다.

첫 번째 무대는 현대 미국을 대표하는 작곡가 애덤스의 초기 성공작 고속 기계를 탄 짧은 주행을 선보이며, 심야에 스포츠카를 타고 달리는 스릴 넘치는 주행을 떠올리게 한다.

두 번째 무대에서는 스페인 작곡가 로드리고가 만든 작품으로 추억의 토요명화 오프닝 음악으로도 유명한 아랑훼즈 협주곡을 연주한다. 시각 장애인이었던 로드리고가 내면의 눈으로 봐라본 스페인의 아랑훼즈를 음악으로 그려낸 작품으로 굉장히 빠른 패시지와 많은 도약 그리고 플라멩코적인 요소를 가미한 스케일 등 연주하기 어려운 작품이다. 이번 무대를 함께하는 기타리스트 박규희는 3세부터 기타를 시작하여 2008년 벨기에 프렝탕 국제 기타 콩쿠르에서 최초의 여성 우승자이자 최초의 아시아인 우승자로 이름을 올렸다. 2012년 스페인 알람브라 국제 기타 콩쿠르에선 1위를 차지했다.

마지막 무대는 베토벤의 교향곡 제7번으로 장식할 예정이다. 베토벤의 작품 중에서 교향곡 제7번이야말로 환희와 낙관적인 분위기가 가장 충만한 작품이다. 2악장(알레그레토)에서 느껴지는 가슴을 찌르는듯한 아픔과 달콤한 위안을 제외하면, 이 곡은 전반적으로 유연하고, 발랄하고 감정이 무척 고양되어 있다.

1년 중, 낮이 가장길고 밤이 짧은 하지, 실제로 하지 날인 621() 부산시립교향악단과 함께 활발한 리듬으로 가득 찰 무대로 축제의 밤이 되길 바란다.

예매는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www.bscc.or.kr)에서 가능하며, 입장권은 5천원~2만원이다.

한편, 본 정기연주회 전날 620() 오후730분 미완성음악회가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진행된다. 전국에서 접하기 힘든 오케스트라 리허설을 직접 볼 수 있으며, 특히나 이번 무대에는 협연자 기타리스트 박규희의 연주도 공개할 예정으로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입장권 5천원)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